자료실족보용어
족보용어
제목 조선조 관청과 관직의 별칭
작성자 관리자 [2017-10-13 17:20:48]
첨부파일
첨부된파일갯수 : 0


조선조 관청과 관직의 별칭


조선조 품계 분류


사대부(土大夫):① 대부(1품부터 종4)+사(5품 아래 벼슬아치) ② 사(양반 사내)+대부(높은 벼슬아치)


문반(文班) : 동반(東班), 문관(文官), 문신(文臣)
무반(武班) : 서반(西班), 무관(武官), 무신(武臣), 호반(虎班)


합하(閤下) : 1품 벼슬아치. *정승(政丞) : 국상(國相), 상위(相位), 연부(蓮府), 정승(正承)


대감(大監) : 2품 이상 벼슬아치.
영감(令監) : 2품 또는 정3품 벼슬아치. 영공(令公)


나리 : 3품 이하
당상(堂上) : 비옥(緋玉)
당상삼품 이상 실직 : 현관(顯官), 현직(顯職)
당하삼품:계궁(階窮), 자궁(資窮)
당하(堂下) : 낭청(郎廳)
참상(參上) : 참내(參內)
참하(參下) : 참외(參外)


○ 명공거경(名公巨卿) - 공경(公卿) : 삼공(三公), 구경(九卿)


 

 

공경(公卿)

 

의정부(議政府):군당(郡堂),괴부(槐府),

기부(記府), 낭묘(廊廟),도당(都堂),

묘당(廟堂),

봉지(鳳池),상부(相府),성부(省府),

암곽(巖廓),암랑(嚴廊),정부(政府),

중서성(中書省),황각(黃閣)

비변사(備邊司)묘당(廟堂),비국(備局),

주사(籌司)

 

이조(吏曹)천관(天官),동전(東銓),문부(文部),

선부(選部),전리(銓理),전부(銓部),

전조(銓曹)

 

호조(戶曹)지관(地官),도지(度支),민부(民部),

사농(司農),중감(重監),장부(掌賦),

지부(地部),창부(倉部),탁지(度支),

판조(版曹)

예조(禮曹)춘관(春官),남궁(南宮),남성(南省),

방례(邦禮),예관(禮官),의조(儀曹),

춘조(春曹)

병조(兵曹)하관(夏官),서전(西銓),군부(軍部),

기성(騎省),기조(騎曹),마조(馬曹),

병관(兵官),서조(西曺),직방(職方),

총부(摠部)

형조(刑曹)추관(秋官),법조(法曹),백운사(白雲司),

사패(司敗),의형(義刑),이관(李官),

추부(秋部),추조(秋曹),형관(刑官),

형부(刑部),혜당(惠堂)

공조(工曹)동관(冬官),공관(工官),공전(工典),

기조(起曹),수부(水府),수예(修例),

수조(水曹),예작(例作),전공(典工)

한성부(漢城府):경조(京兆)

 

삼공(三公)
삼상(三相)
대신(大臣)
아형(阿衡)
정승(政丞)

 

이공(貳公)

이상(二相)

이상(貳相)

 

구경(九卿)

 

 

 

육경(六卿)
정경(正卿)
상서(尙書)

전서(典書)

 

 

영의정(領議政): 영상(領相),상상(上相),수규(首揆),

영각(領閣),영규(領揆),원보(元輔)

좌의정(左議政): 좌상(左相),좌각(左閣),좌규(左揆),

좌합(左閤)

우의정(右議政): 우상(右相),단규(端揆),우규(右揆),

우대(右臺),우태(右台),우합(右閤)

    좌참찬(左參贊):삼재(三宰)

우참찬(右參贊):사재(四宰)

 

이조판서(吏曹判書):총재(),

이판(吏判 약어, 아래도 같음),

장전(長銓),전장(銓長),제형(提衡)

 

호조판서(戶曹判書):사도(司徒)

판서 앞에는 대()를 붙이고, 참판에게는 소()

붙이기도 함.아래 모두 적용.

장부(掌賦)

예조판서(禮曹判書):종백(宗伯),질종(秩宗)

 

 

병조판서(兵曹判書):사마(司馬),본병(本兵), 기판(騎判)

 

 

 

형조판서(刑曹判書):사구(司寇),추판(秋判),

도관(都官),추경(秋卿)

 

 

공조판서(工曹判書)사공(司空)

 

 

한성판윤(漢城判尹):경조윤(京兆尹)


() () () () () ()       () () () () () ()


 

관청합칭

 

법사(法司),형한양사(刑漢兩司) : 형조+한성부

전조(銓曹),정조(政曹),양전(兩銓) : 이조+병조

*문관의 인사를 맡은 이조와, 무관의 인사를 맡은 병조의 관원은

 '상피(相避)'라 하여 친인척이 함께 전조에 벼슬하는 것을 막았다.

삼조(三曹) : 호조+형조+공조

 

관직독칭

 

의정부: 양규(兩揆):좌의정+우의정,

찬성(贊成) : 참정(參政)

동벽(東壁) : 좌찬성(左贊成)

서벽(西壁) : 우찬성(右贊成)

남상(南床):검상(檢詳)

이조: 아전(亞銓), 이참(吏參) : 참판(參判)

삼전(三銓), 이의(吏議) : 참의(參議)

조랑(曹郎):정랑(正郎)+좌랑(佐郎), 전랑(銓郎)

호조: 지아(地亞) : 참판(參判)

*호혜당(戶惠堂) : 호조와 선혜청(宣惠廳)의 당상관들

예조: 예당(禮堂) : 예조 당상관, 판서(判書)+참판(參判)+참의(參議)

예랑(禮郞) : 정랑(正郞)+좌량(住郞)

병조: 소사마(小司馬) : 참판(參判)

형조:

공조:

한성부:

 

관직합칭

경상(卿相) : 삼정승+육조판서

판당(判堂):육조판서&한성판윤
삼당(三堂):육조판서+참판(參判)+참의(參議), 삼당상(三堂上)
아경(亞卿):육조참판&한성부 좌윤(左尹)+우윤(右尹)
아당(亞堂), 시랑(侍郞):육조참판

좌이(佐貳) : 육조 참찬(參判)+참의(參議)

조랑(曹郎) : 육조 각 관청에 속한 낭관(郎官), 정랑(正郎)+좌랑(佐郎)


○ 삼사(三司) · 사관(四館), 규장각(奎章閣)


 

삼사(三司)

 

 

 

사관(四館

 

양사(兩司)

대간(臺諫)

언관(言官)

간관(課官)

 

양관(兩館)

관각(館閣)

 

 

 

 

 

 

 

 

 

 

분관(分館)

 

사헌부(司憲府)

감찰사(監察司),난대(蘭臺),남대(南臺),대성(臺省),

백당(柏堂), 백대(柏臺),백림(柏林),백부(栢府),

상대(霜臺),어사대(御史臺), 오대(烏臺),오부(烏府),

전중(殿中),헌대(憲臺)

사간원(司課院)

간원(諫院),미원(薇垣)

삼관(三館)

홍문관(弘文館)

본각(本閣),옥당(玉堂),난서(鑾署),

봉관(蓬館),문원(文苑),서서원(瑞書院),

서청(西淸),영각(瀛閣), 영주(瀛洲),

옥서(玉署),청연각(淸燕閣)

예문관(藝文館)

난파(鑾坡),내한(內翰),문원(文苑),

문한서(文翰署), 봉각(鳳閣),사국(史局),

사림원(詞林院),사액(詞掖), 예각(藝閣),

예관(藝館),원봉성(元鳳省),오금(鼇禁),

한림(翰林),한림원(翰林院),한원(翰苑),

화전(花磚)

교서관(校書館)

외각(外閣),운각(芸閣),운관(芸館),

내서(內書), 비서(秘書),전교(典校)

성균관(成均館)

국자(國子),국상(國庠),국학(國學),근궁(芹宮),

반궁(泮宮), 반재(泮齋), 벽소(璧沼),상상(上庠),

태학(太學),학궁(學宮), 행단(杏壇), 현관(賢關)

승문원(承文院)괴원(槐院), 사액(詞掖)

 

대사헌(大司憲):대헌(大憲), 도헌(都憲)

 

 

 

대사간(大司諫):간장(諫長), 대리(大理)

대제학(大提學):문병(文柄),문형(文衡),

주문(主文), 태학사(太學士)

 

 

 

대제학(大提學):주문(主文)

 

 

 

 

 

 

 

대사성(大司成):국자장(國子長),반장(泮長),

사유(師儒), 사장(師長)

규장각(奎章閣):내각(內閣),규영부(奎瀛府),금문원(擒文院),석거(石渠),

이문원(擒文院)

제학(提學) : 각감(閣監)


*사관(四館):과거시험의 조직과 시행 과정을 주관하는 4개의 관청.


*분관(分館):문과에 새로 급제한 급제자(보통 33)를 견습시킬 목적으로 권지(權知)라는 이름으로 실무를 익히도록 했는데,


그 주요 삼관이다. , 문과(文科) 급제자를 승문원 · 성균관 · 교서관에 배치하는 인사 행정을 말하는데,


승문원의 괴원분관(槐院分館)을 으뜸으로 치고 성균관의 국자분관(國子分館)을 다음으로 여겼다.


그 과정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이름을 적어서 박사(博士) 3명으로 하여금 채점을 하게 한 다음


3점을 맞은 사람은 승문원에, 2점은 성균관에, 1점은 교서관에 보낸다.


이를 다시 승문원 도제조가 검토 · 수정한 다음, 이조에서 계품하여 삼관에 입속시켰다.


[무과에 새로 급제한 급제자(보통 28)는 삼천이라 했는데,선전천(宣傳薦).부장천(部將薦).수문장천(守門將薦)이고


병조가 입속시킨다.]


분관살이를 하지 않고 예문관의 검열(檢閱)이나 승정원의 주서(注書)가 된 사람을'서비(西飛)'라 했는데,가문의 영광이었다.


*문형(文衡):대제학(大提學)의 별칭으로 알려져 있다. 대제학이라도 '문형'의 칭호를 얻으려면,


홍문관 · 예문관 대제학에 성균관 대사성 또는 지성균관사를 겸임해야만 했다.


, 홍문관 · 예문관 대제학을 역임하고 있어도 성균관 대사성이나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를 겸임하지 못한 사람은


문형'으로 칭하지 않았다. 가문의 대영광이었다.


*사선(四仙):문사(文詞)를 맡은 기관 (홍문관 · 예문관 · 춘추관 · 교서관)


 

관직독칭

 

 

 

 

 

 

 

 

관직합칭

 

사헌부: 대관(臺官),부중(府中),중승(中丞) : 전체 벼슬아치 사대장(四臺長),

대장(臺長) : 장령(掌令 2)+지평(持平 2)

방주(房主) : 감찰(監察) 우두머리(정원: 12~13)

사간원:

홍문관:

예문관: 검열(檢閱) : 한림(翰林)

교서관:

성균관:

승문원:

규장각: 각신(閣臣) : 전체 벼슬아치,각감(閣監) : 제학(提學)

간관(課官), 언관(言官), 이목관(耳目官) : 사헌부&사간원 벼슬아치

문임(文任) : 홍문관&예문관 제학(提學)사관(史官 사초 작성 벼슬아치), 태사(太史),

한주(翰注) : 예문관 검열&승정원 주서

시종(侍從) : 홍문관 벼슬아치&사헌부.사간원 대간&예문관 검열&승정원 주서청환(淸宦),

청관(淸官) : 홍문관(弘文館) & 규장각(奎章閣) 등의 벼슬아치


조선의 관직 수


조선의 관직 중에서 순수한 양반의 정직(正職) 2,400과다.


문반과 무반을 통들어 경관은 860, 외관은 1,540과가 되는 셈이다. 경관 860과 중에서 겸관이 132과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조선의 양반이 오르고 싶어했던 순수한 경관의 정직 수는 728과가 된다. 이 중에서 문관은 466, 무관은 262과다.


여기서 문관 466과는, 조선 양반들이 차지하기 위해 분투했던 관직이다.


경국대전에 명시된 조선의 관직 수

 

총관직 수

 

양반의 직

문관 1,779

경관 741

문관1,579

경관 541

외관 1,038

외관 1,038

무관 3,826

경관 3,324

무관 821

경관 319

 

외관 502

 

외관 502

체아 3,110

5,606

2,400

무록 95

합계 8,811


 


 


 


 


 


 


 


문관 466과 관직 중에서도 가장 명망 있는 관직은 청직(淸職)과 요직(要職), 즉 청요직이었다.


청직으로는 사헌부 · 사간원 · 홍문관 · 예문관 · 승문원이 있었다.


이들 대간직(臺諫職)과 문한직(文翰職)은 그 직무의 성격상 청렴과 기개를 중요시했고,


관료조직의 청량제 역할을 했다. 따라서 권력에 가까운 요직보다 선호받은 관직이었다.


① 경관(京官) 이관(吏官) - 일부 -
종친부(宗親府) : 종부(宗府), 종부시(宗簿寺)
사옹원(司饔院) : 번원(燔院), 사선(司膳), 상식(尙食), 주사(廚司), 주원(廚院)
상서원(尙瑞院) : 부보랑(符寶郞), 정방(政房), 지인방(知印房), 차자방(箚子房)


내수사(內需司):공출고(供出庫), 내사(內司), 비용시(備用寺), 요물고(料物庫)
내시부(內侍府):내반원(內班院), 내부(內府)


승정원(承政院):은대(銀臺), 정원(政院), 후사(喉司), 후원(喉院)

육방승지(六房承旨):대언(代言),승선(承宣),은대학사(銀臺學士),후설(喉舌)

이방(吏房): 이방승지(吏房承旨) : 도승지(都承旨), 도령(都令), 지신(知申)

호방(戶房): 좌승지(左承旨)

예방(禮房): 우승지(右承旨)

병방(兵房): 좌부승지(左副承旨)

형방(刑房): 우부승지(右副承旨)

공방(工房): 동부승지(同副承旨)


무승지(武承旨):무과 출신의 승지


오상사(五上司)

양부(兩府)

 

의정부(議政府):맨 위 표 참조

중추부(中樞府):서추(西樞),중추원(中樞院),추밀원(樞密院),홍추(鴻樞)

돈령부(敦寧府):

의빈부(儀賓府):부마부(駙馬府),부마소(駙馬所)

충훈부(忠勳府):맹부(盟府),운대(雲臺),인각(麟閣),훈부(勳府)

 

문무백관 통솔

직무가 없는 당상관 우대

왕실 친척 우대

왕실 사위 우대

공신 우대

 

동반

서반

동반

동반

동반


재추(宰樞):① 의정부(議政府) 삼상(三相)+중추부(中樞府) 장상(將相). ② 문무 고관대작


부마도위(駙馬都尉):부마(駙馬), 도위(都尉), 의빈(儀賓)


삼성(三省):의정부(議政府), 사헌부(司憲府), 의금부(義禁府) [인용:삼성추국(三省推鞠)]


팔좌(八座):육조(六曹) 판서(判書)+홍문관(弘文館) 대제학(大提學)+한성판윤(漢城判尹)


② 경관(京官) 호관(戶官) - 일부 -


선혜청(宣惠廳) : 혜국(惠局), 혜청(惠廳)
군자감(軍資監) : 군감(軍監), 보천생(寶泉省), 물장생(物藏省), 소부감(小府監)
광흥창(廣興倉) : 사록관(司祿館), 천록관(天祿官), 태창(太倉), 태창서(太倉署)
사재감(司宰監) : 도진(道津), 사율(司律), 사진(司津)
제용감(濟用監) : 잡직서(雜織署)
내자시(內資寺) : 대관(大官), 선관(膳官)
내섬시(內贍寺) : 덕천고(德泉庫)
전설사(典說司) : 사설서(司設署), 상사국(尙舍局)


③ 경관(京官) 예관(禮官) - 일부 -
봉상시(奉常寺) : 전사(典祀), 전의(典儀), 태상(太常)
장악원(掌樂院):대악감(大樂監), 사예(司藝), 성음서(聲音署), 아악서(雅樂署), 이원(梨園), 장복(掌服), 장중(掌中), 전악서(典樂署)


기로소(耆老所):기사(耆社), 기소(耆所), 완소(翫所)
경연청(經筵廳):분사(分司), 하전(廈氈)
춘추관(春秋館) : 사관(史館)
세자시강원(侍講院) : 갑관(甲觀), 뇌사(雷肆), 징원당(澄源堂), 첨사부(詹事府), 춘방(春坊)
관상감(觀象監):관후서(觀候署),누각전(漏刻典),사천대(司天臺),서운관(書雲觀),운관(雲觀),운대(雲臺),태복감(太卜監),태사국(太史局)
통례원(通禮院) : 홍로(鴻臚), 사범서(師範署), 중문(中門), 합문(閤門)
사역원(司譯院) : 상원(象院), 설원(舌院), 역원(譯院), 통문관(通文館)
예빈시(禮賓寺) : 봉빈(奉賓), 사빈(司賓)
도화서(圖畵署) : 채전(彩典)


삼의사(三醫司)

 

삼의원(三醫院)

내국(內局)

 

외국(外局)

내의원(內醫院):내약방(內藥房),봉의(奉醫),상약(尙藥),약방(藥房),약원(藥院),장의(掌醫)

태의원(太醫院)*약방기생:의녀

전의감(典醫監):사의서(司儀署), 태의감(太醫監)

혜민서(惠民署):혜민국(惠民局)

활인서(活人署):대비원(大悲院), 활서(活署)


*삼의사록관(三醫司祿官) : 내의원, 전의감, 혜민서의 벼슬아치 통칭


④ 경관(京官) 병관(兵官) - 일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 위부(衛府)
사복시(司僕寺) : 사어(司馭), 승부(乘府), 태복(太僕)
군기시(軍器寺):내무고(內武庫), 무고(武庫)


오군영(五軍營)

오군문(五軍門)
오영문(五營門)

삼영(三營)
삼군문(三軍門)

 

수어청(守禦廳)

총융청(摠戎廳)

양국(兩局)

 

금위영(禁衛營)

훈련도감(訓鍊都監):훈국(訓局)

어영청(御營廳):어영(御營)

오위(五衛): 중위, 의흥위(義興衛)

좌위, 용양위(龍驤衛)

우위, 호분위(虎賁衛)

전위, 충좌위(忠佐衛)

후위, 충무위(忠武衛)


⑤ 경관(京官) 형관(刑官) - 일부 -
의금부(義禁府) : 금부(禁府),금오(金吾),왕부(王府),의용(義勇),조옥(詔獄)


전옥서(典獄署) : 대리(大理)


⑥ 경관(京官) 공관(工官) - 일부 -
상의원(尙衣院) : 공조(供造),상방(尙房),상방사(尙房司),상의사(尙衣司),장복(掌服),중상(中尙)


선공감(繕工監) : 장작(將作)
장원서(掌苑署) : 내원서(內苑署)
와서(瓦署) : 도등국(陶燈局), 와요(瓦窯)


○ 외관(外官) - 관찰사만


관찰사(觀察使)감사(監司),관찰(觀察),대사(大使),도백(道伯),도신(道臣),방백(方伯),번신(藩臣),

번진(藩鎭),사상(使相),사절(使節), 자목(字牧),안사(按使),얼사(臬司),염사(廉使),옥절(玉節)

경기도(京畿都): 기백(畿伯),기찰(畿察),수찰(水察),화찰(華察)

충청도(忠淸道): 금백(錦伯),금찰(錦察),호서백(湖西伯)

경상도(慶尙道): 영백(嶺伯)

강원도(江原道): 동백(東伯),춘찰(春察)

평안도(平安道): 기백(箕伯),기찰(箕察),관서백(關西伯),서기백(西箕伯)

전라도(全羅道): 완백(完伯),완찰(完察),호얼(湖臬)

황해도(黃海道): 해백(海伯)

함경도(咸鏡道): 북백(北伯)


○ 기타 - 일괄 -


세자(世子) : 저이(儲貳),국본(國本),부군(副君),계체(繼體),전성(前星),저위(儲位),원량(元良),명량(明兩),명리(明離)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갑관(甲觀), 주연(胄筵), 춘방(春坊), 시강원(侍講院), 계방(桂坊)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 익위사(翊衛司), 계방(桂坊)


세자궁(世子宮) : 춘저(春邸), 학금(鶴禁), 승화(承華), 갑관(甲觀), 동궁(東宮), 동위(銅闈)


서연(書筵) : 이연(離筵), 뇌사(雷肆), 주연(胄筵) *세자는 서연, 왕은 경연(經筵)=분사(分司), 하전(廈氈)


종친(宗親) : 종실(宗室)
대비(大妃) : 동조(東朝)
중궁(中宮) : 곤전(坤殿), 내전((內殿), 중전(中殿)
후궁(后宮) : 초방(椒房)
궁녀(宮女) : 홍수(紅袖), 자수(紫袖)
수사(水賜) : 무수리


내시(內侍) : 귀당(貴璫),내수(內竪),시인(寺人),엄관(企官),정신(淨身),중관(中官),초당(貂璫),혼시(汚寺),


환시(宦寺),환자(宦者),황문(黃門)


○ 기타2 - 일괄 -


독서당(讀書堂) : 동호(東湖), 사가독서(賜暇讀書), 호당(湖堂)


집현전(集賢殿) : 집선전(集仙殿)


정음청(正音廳) : 언문청(諺文廳)
보루각(報漏閣) : 누국(漏局) *자격루(물시계) 관리
신문고(申聞鼓) : 등문고(登聞鼓)


○ 기타3 - 일괄 -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통제사(統制使),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통곤(統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 병사(兵使), 병곤(兵閫)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 수사(水使)


병사(兵使) 수사(水使):곤수(閫帥)


남병마절도사(南兵馬節度使) : 남병사(南兵使) - 북청


북병마절도사(北兵馬節度使) : 북병사(北兵使) - 함경도 마천령 이북 경성


함경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북곤(北梱)


종사관(從事官):행대(行臺) *대간의 권한을 행사한다는 의미


진영장(鎭營將) : 영장(營將)


진장(鎭將) : 첨철제사(僉節制使), 동첨절제사(同僉飾制使), 만호(萬戶), 절제도위(節制都尉)


감목관(監牧官) : 감목


훈련대장(訓鍊大將) : 훈장(訓將)


포도부장(捕盜部將):경포교(京捕校), 포교, 경포


첨사(僉使)+만호(萬戶)+권관(權管):변장(邊將)


호아(虎牙) : 장군(將軍)


군관(軍官) : 장교(將校)


수군(水軍):주사(舟師)


암행어사(暗行御史) : 수의(繡衣), 직지(直指)


○ 기타4 - 일괄 -


생원(生員) : 수재(秀才)


용두객(龍頭客) : 과거 시험에 장원(壯元)한 자() 2등은 방안(榜眼), 3등은 탐화(探花)


문과 장원(壯元):문괴(文魁)


무과 장원(壯元):무괴(武魁)


음직(蔭職) : 남행(南行), 백골남행(白骨南行), 음관(蔭官), 음사(蔭仕)


녹봉(祿俸) : 관름(官稟), 관황(官況), (), 늠봉(稟俸), 늠료(稟○), 늠황(稟況), 봉록(俸祿)


시호(諡號) : 애증(哀贈)


칠반천역(七般賤役)


관청에 매여 천대를 받는 일곱 가지 직종의 사람(또는 직종).


① 관청에서 갖은 심부름을 하는 조예(○隸)


② 의금부(義禁府)의 나장(羅將)


③ 지방관청의 일수(日守)


④ 조세를 나르는 배를 부리는 조군(漕軍)


⑤ 각 지방의 수군절도사영 수군(水軍)


⑥ 봉수대(烽燧臺)의 봉군(烽軍)


⑦ 역말에 소속된 역졸(驛卒)


 


이전글 ...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