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苟全先生文集
苟全先生文集
제목 사(辭)
작성자 관리자 [2017-12-23 15:09:29]
첨부파일
첨부된파일갯수 : 0

 

[苟全先生文集卷之一]    구전선생문집권지일

 

[辭] 

 

 

  1621. 도연명의 <귀거래사>의 형식을 빌어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뜻을 읊은 글이다.

  신안(新安) 현감(縣監)을 그만두면서 지은 글이다.

 

   원문(원문)

   次歸去來辭(차귀거래사)

   余忝廁薇垣。自知不稱。肅謝再翌而辭遞。爲養丐縣。得新安。卽古星州也。務煩政劇。事又有難處者十常八九。

   여첨측미원   자지불칭   숙사재익이사체   위양개현   득신안   즉고성주야   무번정극   사우유난처자십상팔구    

   不三年而歸思轉緊。殆不能自制。而猶且遅回未决。淹過七考。豈非彭澤之罪人也。畢竟憲府以濫用民役布爲參。

   불삼년이귀사전긴   태부능자제   이유차지회미결   엄과칠고   기비팽택지죄인야   필경헌부이람용민역포위참

   自上有査命 方伯亦當被論不卽覈啓 余乃呈告歸家因去職 是時列守之坐駁或査者  多在官待命  故士庶請留頗苦。

   자상유사명 방백역당피론불즉핵계 여내정고귀가인거직 시시열수지과박혹사자  다재관대명  고사서청류파고  

   至圍守城門不許開十餘日。未免乘夜折鎖單行以出。其亦窘束也歟。假寓桂塲洞。令阿豚柱宇書歸去來辭付諸壁。

   지위수성문불허개십여일   미면승야정쇄단행이출   기역군속야여   가우계장동   령아돈주우서귀거래사부제벽 

   誦玩朝夕。有不覺赧於面。而感於心者。遂援筆題之。歸在萬曆己未中秋。而辭成於天啓辛酉暮春云 歸去來兮。

   송완조석   유불각난어면   이감어심자   수원필제지   귀재만력기미중추   이사성어천계심유모춘운 귀거래혜

   欲歸未歸今始歸。苦折腰於斗米。寔余心之所悲。旣烏㙜之有評。胡黔首之我追。苟彷徨而佇覈。奈未免夫遂非。

   욕귀미귀금시귀   고절요어구미   식여심지소비   기오대지유평  호검수지아추   구방황이저핵   내미면부수비

   投手中之素版。解身上之朱衣。恨車回之坐晩。愧智昧於見微。豈仁侯遁。迺敗將奔。角巾中宵。匹馬東門。

   투수중지소판   해신상지주의   한차회지좌만   괴지매어견미   기인후둔   내패장분   각건중소   필마동문

   去路云遮。古道今存。未遑供帳。尙與開樽。慰白叟以重來。顧赤舌而無顔。舟東洛而利涉。覺神心之漸安。

   거로운차   고도금존   미황공장   상여개준   위백수이중래   고적설이무안   주동낙이리섭   각신심지점안

   固榮悴之俱虛。况毁譽其何關。挹旅老之高風。憶川師之達觀。門倚老而望來。㫌趁秋而告還。居無室於喪裴。

   고영췌지구허   황훼예기하관   읍여노지고풍   억천사지달관   문의노이망래   정진추이고환  거무실어상배

   讀有書於傭桓。歸去來兮。幾寒暑於宦游。賦遂初兮其徐。學鳶魚之可求。開琴書之小窩。貧不憂而道憂。 

   독유서어용환 귀거래혜   기한서어환유   부수초혜기서   학연어지가구   개금서지소와   빈불우이도우

   稽貞悔於羲卦。討叙斁於箕疇。回首瞿塘。出沒輕舟。庭歡極於晨夕。國恩重於山邱。異梅福之仙去。

   계정회어희괘   토서두어기주   회수구당   출몰경주   정환극어신석   국은중어산구   이매복지선거

   非季眞之風流。惟望道而月征。庶作德而日休。已矣乎。人生百歲五十強。若流水光曾不留。胡爲乎坎坎來與之。

   비계진지풍류   유망도이월축   서작덕이일휴   이의호   인생백세오십강   약유수광증불유   호위호감감래여지

   江山久相待。   ?? 有前期。雖顑頷亦何傷。聊及時而耕耔。澆磊落於得酒。遣幽逸於哦詩。謂我盜而無辨。

   강산구상대      구 로유전기  수함함역하상   료급시이경자   요뢰락어득주    견유일어아시  위아도이무변 

   竊比西京直不疑 

   절비서경직불의                                                                                     

 

 

[次歸去來辭]  차귀거래사    귀거래사에 차운하다 서문과 함께[幷序]  

 

내가 사간원[司諫院]의 관원으로 욕되게 섞였으니 스스로 걸맞지 않음을  알고,

숙배(肅拜) 사은(謝恩) 한 이튿날의 이튿날[재익:再翌]에 사임하여 체직(遞職) 되고,

어버이 공양을 위하여 지방고을의 수령이 되기를 원하여 신안(新安)으로 나가게 되였으니 바로 옛날의 성주(星州)다.

행정 업무가 번거롭고 바쁘며 사건 또한 처리하기 어려운 것이 열에 여덟과 아홉 건은 되어 3년이 채 못되어

돌아가고픈 생각이 매우 간절하여 자못 스스로 억제할 수 없었다.

그런데 오히려 천연스럽게 결정을 짖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일곱 차례의 근무 평정을 격게 되었으니,

어찌 팽택(彭澤)의 죄인[彭澤의罪人]이 아니겠는가?

그러다가 필경에는 사헌부(司憲府)에서 주민들의 역포(役布)를 남용(濫用)하는데 참여하였다는 것으로 임금에게서부터

조사하라는 명령이 있었고,

방백(方伯:관찰사(觀察使)) 또한 논박을 당하게 되어 즉시 사실을 조사 하겠다고 아뢰지 않았으므로,

내가 바로 집으로 돌아가겠다고 정고(呈告)하고 관직에서 떠났다.

이때에 여러 고을 수령으로 논박(論駁)에 연좌되거나 간혹 조사하는 자가 관아에 있으면서 명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사인(士人)과 서민(庶民)들이 머물도록 청하기를 매우 괴롭게 하였고,

심지어 초위하여 지키며 성문을 열도록 허락하지 않아 10여일토록 그런 상황을 모면하지 못하다가 밤을 틈타

자물쇠를 꺽고 단신(單身)으로 탈출 하였으니, 그것 또한 군속(窘束) 하다고 하겠다.

그리하여 계장동(桂場洞)에 임시로 우거(寓居)하면서 아돈(阿豚)주우(柱宇)로 하여금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써서 벽에다 붙이게 하고는 아침저녁으로 외우며 음미(吟味)하였는데,

부끄러워 얼굴이 붉어지고 마음에 감동됨을 깨닫지 못함이 있어 마침내 붓을 가져다 이 글을 썼으니

만력(萬曆)기미년(己未年 1619 광해군11)중추 였었고,

차귀거래사(次歸去來辭)가 완성되기는

천계(天啓:명나라 희종(熹宗)의 연호) 신유년(辛酉年 1621 광해13) 모춘(暮春)이였다.

 

돌아가리라,

 

돌아가려 했지만,

돌아가지 못하다가 이재야 돌아가게 되였구려.

많지않은 녹봉에 굽실거리는 것이 괴로웟으니 이것이 내 마음의 슬픔이였네.

이미 사헌부의 평판이 있었는데 어찌하여 주민들은 나를 따르려 하는가?

구차스레 방황하면서 탄핵받기를 기다렸으니,

내가 잘못을 알면서도 잘못을 저지르게 되었음을 모면하지 못하였네.

손에 쥐고 있던 임명장을 던져 버리고 몸에 걸쳤던 관복을 벗어 버렸지.

늦게야 <고향으로> 수레를 돌리게 됨이 한탄스럽고 기미를 보는 지혜가 없었음이 부끄럽도다.

어찌 어진 수령이 은둔함이랴.

바로 패배한 장수가 도망하는 격일세.

각건 차림으로 밤중에 한 필의 말을 타고 동문으로 향하니 떠나는 길이 막혔다고 하지만,

옛길은 지금도 있었네.

연회를 위한 준비와 장막을 칠 겨를도 없이 함께 술 두루미를 열었네.

늙은이를 위로하며 거듭 보니 쓸대없었던 말을 돌아보며 면목이 없었네.

낙동강에 배를 띄워 건너니 정신과 마음이 점점 편안해 짐을 알겠도다.

참으로 번영과 초췌는 모두가 허황된 것인데.

더구나 비방과 칭찬이 그 무슨 관계가 될까?

장여헌(張旅軒:장현광(張顯光)) 의 고매한 기풍에 경의를 표하며,

월천선생의 세속을 초월한 식견을 회상하게 되도다.

문에서는 어버이가 늙으신 몸을 기대고 빨리 오기를 기다리시는데,

정절(旌節)은 머뭇거리다가 가을이 되어서야 되돌려보낸다고 하였네.

거처할 집이 없으니 노닐 곳을 잃어 버렸고,

책이 있으니 머뭇거리며 활용할 만하네.

 

돌아가리라

 

몇 차려의 겨울과 여름을 보내면서 벼슬살이를 하였던가?

은퇴할 애당초의 뜻을 이루게 되였음을 읊어 봄이여!

솔개가 하늘을 날고 물고기가 못에서 뛰는 대자연의 섭리를 천천히 배우고 구할만 하리니.

조그마한 움막에서 거문고 뜯고 책 읽으며 가난을 근심하지 않고 도를 근심하리라.

정(貞)과 회(悔)[貞과悔] 는 역경(易經)의 괘(卦)에서 상고하고,

서(叙)와 두(斁)[叙와斁] 는 서경(書經)의 홍범구주(洪範九疇)에서 토론하리라.

 

[체직(遞職:벼슬을 갈아치움.]

[역포(役布:역가(役價)로 받은 면포.]

[정고(呈告:관아에 소장(訴狀)을 올림.]

[아돈(阿豚:자기 아들의 겸칭(謙稱).]

[팽택(彭澤)의 죄인[彭澤의罪人:진(晉)나라 도잠(陶潛)이 일찍이 팽택령(彭澤令)이 되였는데,

  독우(督郵)가 소속 고을을 순행하던 차 팽택현에 이르자 아전들이 도잠에게 관대(冠帶)를 갖추고 뵈는 것이

  합당하다고 하자 도잠이 탄식하면서 말하기를 내가 어찌<녹봉으로 받는> 다섯말의 곡식 때문에 허리를 굽히겠는가? 하고,

  그날로 인수(印綬)를 풀고 전원(田園)으로 떠나면서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지은 고사(故事)를 가르키는데,

  #여기서는 구전선생(苟全先生)이 빨리 그렇게 못한 것이 도잠에 대하여 죄인이라고 여기게 된 것임]

[솔개가 하늘을 날고 물고기가 못에서 뛰는:시경(詩經)대아(大雅) 한록편(旱麓篇)에

  솔개가 날아 하늘에 이르거늘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도다[연비려천 어약간연(鳶飛戾天魚躍干淵)]고 한 것을 인용한 것으로,

  천지조화(天地造化)의 묘용(妙用)을 이르는 것이니, 모든 동물이 자연 그대로 즐겁게 생할하고 있음을 말함]

 

[정(貞)과 회(悔):정(貞)은 역경(易經)의 내괘(內卦)를 말하며,회(悔)는 역경의 외괘(外卦)를 말함]

[서(叙)와 두(斁):서(叙)는 일정불변의 이륜(彛倫)이 펴지는 것을 말하고,

                         두(斁)는 일정에 불변의 인륜이 무너지는 것을 가리킴,]

[정절(旌節:사자가 들고가던 기(旗)] 

 

 

 <<14세손 김태동 옮겨씀>>

 

 

 

 

이전글 ...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