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苟全先生文集
苟全先生文集
제목 [詩] 시
작성자 관리자 [2017-12-23 14:52:54]
첨부파일
첨부된파일갯수 : 0

 

[苟全先生文集卷之三]    구전선생문집권지삼

 

 []  

 

[生員趙溭曾以盡孝西宮呈疏被囚受刑今安直南海金吾押去遇縣余無知分而嘉其志行吟寄五言近體一篇用古韻也]    

  생원조직증이진효서궁정소피수수형금안직남해김오압거우현여무지분이가기지행음기오언근체일편용고운야

 

생원 조직이 일찍이 <광해군에게> 서궁(西宮)에 효도를 다해야 한다는 것으로 소()를 올렸다가

갇히고 형벌을 받았는데 지금 남해에 안치시키려고 의금부에서 압송하면서 본 고을을 지나게 되었다.

내가 알고지내는 사이는 아니지만 그의 뜻과 행위를 가상하게 여겨 오언 근체시 한 편을 읊어서 부쳤는데

옛날 운을 사용했다.

 

有道吾邦國   유도오방국   도의가 있는 우리 나라에,

危言尙士林   위언상사림   곧은 말은 사림(士林)에서 숭상하였네.

三綱扶在手   삼강부재수   삼강(三綱)을 부축하여 손안에 가지고서,

一死誓甘心   일사서감심   한번 죽는 것을 달갑게 여긴다고 맹세하네.

客路南天遠   객로남천원   나그네의 길은 남쪽 하늘 가로 아득하고,

君恩北海深   군은북해심   임금의 은혜는 북쪽 바다에 깊도다.

寡交無雅分   과교무아분   교유가 적어 알고 지낸 적이 없지만,

且自賞徽音   차자상휘음   앞으로는 아름다운 소식을 완상하리라.

 

[서궁(西宮:조선조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人穆大妃)가 유폐(幽閉)되였던 궁전(宮殿). 여기서는 인목대비를 말함.]

하평운(下平韻) 침:侵 (림:林, 심:心, 심:深, 음:音)

 

[聞喜筵示柱宇]     문희연시주우    즐거운 잔치 소식을 주우에게 보이다

 

中身科甲吾爲沆   중신과갑오위항   중년에 갑과에 급제하여 내가 유항(劉沆)이 되였었고,

膝下如今見汝愚   슬하여금견여우   슬하에는 지금같이 조여우(趙汝愚)를 보겠구려!

袞袞公侯徵善積   곤곤공후징선적   성대하게 떠오르는 공후의 벼슬은 성행을 쌓은 징험이고,

沾沾雨露荷恩紆   첨첨우로하은우   흠뻑 젖은 우로(雨路)는 임금의 은혜가 휘감김을 입어서이네.

須知報國殫誠曲   수지보국탄성곡   나라 은혜에 보답하려면 정성을 곡진하게 다할 줄 알아야하고,

不必馳心役宦送   불필치심역환송   마음을 돌려 벼슬길에 역사할 필요는 없다네.

況有男兒眞事業   황유남아진사업   더구나 남아가 진정으로 해야할 사업이 있으니,

直方安得間工夫   직방안득간공부   내면의 성실과 외면의 단정을 요하는 공부에 어찌 간단이 있겠는가?

 

[송(宋)나라 유황은 나이 40세에 갑과에 합격하였고,조여우는 나이 27세에 정시(廷試)에 장원 하였음]

하평운(下平韻) 우:虞 (우:愚, 우:紆, 송:送, 부:夫)

 

[石泉有感口占]    석천유감구점    석천애서 느낌이 있어 읊다

 

石泉精舍人何處   석천정사인하처   석천정사(石泉精舍)의 주인은 어느 곳에 있는가?

舊要春風不忍過   구요춘풍불인과   오래도록 기다렸던 봄바람 부니 차마 그냥 지나가지 못하네.

卸馬躕躇多少恨   사마주저다소한   말에 재갈을 물리고 머뭇거리는 다소의 한(恨)은,

水聲山影半窓紗   수성산영반창사   물소리와 산 그림자가 사창(紗窓)에 반쯤 드리워져 있어서이네.

 

[사창(紗窓:겹으로 바른 창문(窓門).]

 하평운(下平韻) 가:歌  (과:過, 마:麻, 사:紗)

 

[雙碧堂醉後]     쌍벽당취후     쌍벽당에서 술에 취한 뒤에

 

雙碧舊堂在   쌍벽구당재   쌍벽당은 옛날 그대로 있는데,

二難今不俱   이난금불구   현명한 주인과 훌륭한 손님은 지금 갖추어지지 않았네.

眼靑當日友   안청당일우   반짝이는 눈빛으로 마음을 알아주던 이는 당시의 친구였고,

頭白少年吾   두백소년오   머리가 허옇게 센 사람은 소년이던 나였지.

 

把酒情多少   파주정다소   술잔을 잡으니 많고 적은 정감(情感)들이고,

傷心人有無   상심인유무   마음이 아픈 건 살아 있기도 하고 죽기도 한 사람 때문이네.

後生能解杏   후생능해행   후생(後生)들이 이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

大醉獨長吁   대취독장우   몹시 취하여 혼자서 길게 함숨 짓도다.

 

상평운(上平韻)  우:虞, (구:俱, 오:吾, 무:無, 우:吁)

 

[謝新安鄕人米魚]   사신안향인미어  신안의 고을 사람들이 쌀과 고기를 보내준데 사례하다

 

當年飽喫新安飯   당년포끽신안반   당년에 신안의 밥을 배불리 먹었는데,  

三載居貧肉未消   삼재거빈육미소   삼년 동안 가난하게 살았지만 살은 빠지지 않았다네.

得信更知綠不斷   득신경지록불단   편지를 받고서 인연이 끊기지 않았음을 다시 알겠고,

開包還見物其饒   개포환견물기요   포장을 풀어보고 물산의 풍요로움을 다시 보겠네.

 

甘饞致謗寧遺愛   감참치방영유애   옛날엔 탐냄이라고 나무란 것도 정녕 자애 남음인가,

今受無辭怕有嘲   금수무사파유조   오늘날 받고서 아무런 말이 없으면 조롱이 있을까 겁이 나네.

筆舌欲傳遙謝意   필설욕전요사의   말과 글로 멀리서 사례하는 뜻을 전하려 하니,

長情短句語難調   장정단구어난조   긴 정에 짧은 글귀의 내용 조화를 이루기 어렵네.

 

하평운(下平韻) 소:蕭  (소:消, 요:饒, 효:肴, 조:調)  

 

[朴君仲植檜茂言其新搆巖亭之勝仍示二作求和次韻贈]

    박군중식회무언기신구암정지승잉시이작구화차운증

 

박군 중식 회무가 암정을 경치 좋은 곳에 새로 지었다고 말하면서 그래서

두 편의 글을 지어 보이며 회답을 구하기에 차운하여 주다.

 

絶勝臨江石   절승임강석   뛰어난 경치가 강과 돌을 내려다 보는데,

新騫控灝簷   신건공호첨   새로 고개를 든 것은 호기를 끌어당기는 듯한 처마일세.

多君能晩卜   다군능만복   그대가 늦게 이곳을 차지할 수 있었음에,

恨我未曾覘   한아미증점   내가 일찍이 엿보지 못하였음이 한스럽네.

沙淨夕風掃   사정석풍소   맑은 모래톱은 저년에 부는 바람이 쓴 듯하고,

波深朝雨添   파심조우첨   깊숙한 물결에는 아침에 내리는 비까지 보태주네.

俗塵飛不到   속진비불도   세속의 티끌 날아서 이르지 못하리니,

心事靜仍恬   심사정잉념   마음속에 생각하는 일 조용하고도 편안하리라.

 

水亭巖背抗   수정암배항   물가의 정자가 바위를 등지고 우뚝하니,

烟嶼檻前橫   연서함전횡   안개 낀 작은 섬이 헌함앞에 가로질러 있네.

泉石元成廦   천석원성벽   자연을 좋아하는 마음이 원래 고질을 이루어,

雲霞更結盟   운하경결맹   구름과 노을이 다시 맹세를 맺었다네.

忘機心太古   망기심태고   귀찮은 세사를 잊은 마음은 태고와 같은데,

倚枕夢升平   의침몽승평   베개에 기대면 태평성대에 오르는 꿈을 꾸네.

興至頻題句   흥지빈제구   흥취가 이르면 자주 시(詩)를 쓰나니, 

言言出性情   언언출성정   사연들은 모두 본성과 본정에서 나온 것이네.

 

[헌함(軒檻:누각(樓閣)등의 대청기둥 밖으로 돌아가며 깐 좁은 마루.]

하평운(下平韻) 염:鹽  (첨:簷, 점:覘, 첨:添, 염:恬)   경:庚  (횡:橫, 맹:盟, 평:平, 정:情)

 

[次人韻]     차인운    어떤 사람의 운에 차운하다

 

過耳人間多少事   과이인간다소사   귀를 스처간 인간의 많고 적은 일들,

雷驚電擊摠非關   뢰경전격총비관   놀라운 우뢰와 번쩍이는 번개 모두가 관계없네.

投閑自是無窮樂   투한자시무궁락   한가한 곳에 몸을 두니 저절로 한없이 즐거우며,

任分方知隨處安   임분방지수처안   분수대로 맡겨두니 바야흐로 곳곳마다 편안함을 알겠구려.

寂寞山廻又水擁   적막산회우수옹   적막한 산이 빙 둘러 있고 또 강물마져 휘감고 있으니,

盤恒秋盡復春還   반항추진복춘환   머뭇거리는 동안에 가을이 다가고 다시 봄이 돌아오네.

巾車且稅巖東澗   건거차세암동간   덥개를 한 수레를 바위 동쪽 시냇가에다 세워두고,

洗罷風塵十載顔   세파풍진십재안   풍진(風塵)에 십 년간 찌든 얼굴을 씻어 본다오.

 

상평운(上平韻)  산:刪  (관:關, 안:安, 환:還, 안:顔)

 

[箕子墓    기자묘  [次劉天使韻]차유천사운   유천사의 운에 차운하다

 

天降三仁德本伴   천강삼인덕본반   하늘이 내린 세 사람의 어진이의 덕 본래 동등하였으니,

爲奴瑞爲海東州   위노서위해동주   종[노(奴)]이 된 단서는 해동(海東)의 나라를 위해서였네.

別甄天地開殷化   별견천지개은화   별도의 천지를 만들어 은나라의 교화를 열려고 하였으니,

豈是區區不食周   기시구구불식주   어찌 이것이 구구하게 주나라 곡식을 먹지 않으려 한 것이겠는가?

 

하평운(下平韻)  우:尤  (주:州, 주:周) 

 

[次葛峯金汝精得硏止水亭韻] 2수(首)    차갈봉김여정득연지수정운

 갈봉 김 여정 득연의 지수정 운에 차운하다

 

止水亭南凝不流   지수정남응불유   지수정 남쪽의 물 엉기어 흐르지 않으니,

誰將一鑑小塘留   수장일감소당유   누가 한 개의 거울을 가져와 조그마한 연못에 머물게 하였는가?

佇看活潑風頭雨   저간활발풍두우   우두커니 활기가 넘치는 바람 끝의 비를 보나니,

庭翠無情莫解由   정취무정막해유   푸른 뜰에는 정 없으니 해유(解由)도 없겠구려.

 

誅茅蕭灑架三椽   주모소쇄가삼연   띠를 베어내고 깨끗하고 환한 곳에다 세 칸 정자를 지으니,

秋風春風擁老仙   추풍춘풍옹노선   가을달과 봄바람이 늙은 신선을 감싸주네.

半畝寒池涵一鏡   반무한지함일경   반 이랑 쯤되는 서늘한 못에는 한 개의 거울이 잠긴 듯하고,

五松殘柯近千年   오송잔가근천년   다섯 그루 소나무의 쇠잔한 가지는 근 천년 된 듯하네.

 

須捫此舌休論世   수문차설휴논세   모름지기 이 혀를 더듬거리며 세상을 논하지 말고,

只守吾身可樂天   지수오신가락천   단지 나의 몸을 지키며 자연을 즐기는 것이 좋겠구려.

活水靑山閑復玩   활수청산한복완   흐르는 물과 푸른 산을 한가하게 다시 구경하며,

醉來還入睡鄕眠   취래환입수향면   술에 취하면 도로 꿈나라로 들어가서 잠을 자리라.

 

[해유(解由:관청의 물품을 관장하며 관원이 교체(交替)될 때에 후임자에게 사무를 인계하고

                 호조(戶曹)에 보고하고 책임의 해제를 받는일]

거성운(去聲韻) 유:宥  (유:留), 

하평운(下平韻) 우:尤  (유:由, 선:先,선:仙,년:年,천:天,면:眠)

 

[權齊仲在璣金萬悅秋任趙士久壽伯與阿柱宇來自黌堂俱有酒氣旣坐以醉爲辭族去出

     門遂轉向草堂訪盆梅柱宇暫酌薄醪諧敍良久余獨坐三全室吟成五言近體寄示求和]  임술(壬戌)

 권제중재기김만열추임조사구수백여아주우래자횡당구유주기기좌이취위사족거출

      문수전향초당방분매주우잠작박료제해서량구여독좌삼전실음성오언근체기시구화

 

권제중 재기, 김만열 추임, 조사구 수백이 우리집 아이 주우와 함께 횡당에서 왔는데 모두들 술을 마신

기미가 있었으므로 조금 앉았다가 술이 취한다고 말을 하면서 곧장 떠나려고 문을 나섰다.

주우가 잠시동안 맛이없는 술을 따르어 권하고 우스개 소리를 주고 받았다.

한참 있다가 내가 홀로 삼전실에 앉아 오언 근체시를 지어 그들에게 보이면서 화답 하도록 하였다. (壬戌)

 

新歲門猶掩   신세문유엄   새해인데도 문은 오히려 닫혀 있어,

草堂人不來   초당인불래   초당(草堂)에는 찾아오는 사람 없네.

從兒遊有客   종아유유객   우리집 아이를 따라 놀러온 손님 있으니,

揖兒去如雷   읍아거여뢰   나에게 읍을 하고 떠나가를 천둥처럼 하네.

肯怕山頹玉   긍파산퇴옥   어찌 옥산이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하랴?

要探雪綻梅   요탐설탄매   요긴한 건 눈속의 매화가 꽃망울 터트림을 찾아보는 것이네.

主翁還獨坐   주옹환독좌   주인 늙은이가 도로 외로이 앉아서,

春色付詩材   춘색부시재   봄빛을 시(詩)의 소재로 부친 다오.

 상평운(上平韻) 회:灰  (래:來, 뢰:雷, 매:梅, 재:材)

 

[靈草桶次兒曹]     영초통차아조    영초통에 대하여 아이들의 운에 차운하다

 

誰遺童男採海精   수유동남채해정   누가 어린 사내아이를 보내어 바다의 정기를 채취하려 했던가?

竹腰金口吸芳靈   죽요금구흡방영   대나무마디와 금구(金口)로 향내나는 영기를 들어마시네.

試將火候通腸胃   시장화후통장위   시험삼아 불의 열도를 가지고 창자와 위를 통하게 하니,

痊却沈痾骨欲輕   전각심아골용경   금방 해묵은 고질병이 나아 뼈가 가볍게 여겨지려 하도다.

 

[금구(金口: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을 말함. 여기서는 북 모양의 종 같은것을 말함]

하평운(下平韻)  청:靑 (경:庚,  령:靈, 경:輕)

 

[鐵絲燈次兒曹]     철사등차아조     철사등에 대하여 아이들의 운에 차운하다 

 

鳳卵墜從白玉京   봉란추종백옥경   봉새의 알이 제왕이 계시는 서울을 따라 떨어지니,

綱痕絲綴煥星明   강흔사철환성명   실로 얽은 그물 같은 흔적이 빛나는 별처럼 환하네.

可憐虛室能生白   가련허실능생백   가련하구려 텅빈 집에 환한 빛을 생겨나게 하여,

解使幽人坐五更   해사유인좌오경   은자로 하여금 오경이 되도록 앉아서 시름을 풀게 하도다.

 

하평운(下平韻)  경:庚  (명:明,  경:庚)

 

[盆梅次示柱宇]    분매차시주우     분매운에 차운하여 주우에게 보이다

 

勺水滋盆意自新   작수자분의자신   한 잔의 물로 화분에서 자라니 의미가 저절로 새로워,

三冬剩占一團春   삼동잉점일단춘   석 달의 겨울 동안 여유 있게 한 덩이의 봄을 차지하였네.

逐枝生眼英猶秘   축지생안영유비   가지를 따라 눈이 나니 꽃망울은 오히려 비밀에 쌓였는데,

政似含章欲發人   정사함장욕발인   곧장 문채를 머금고 사람들에게 드러내려고 하는 것과 같도다.

 

養得仙叢要日新   양득선총요일신   신성의 떨기에서 길러져 날마다 새롭기를 바랐으니,

寒齋別有小盆春   한재별유소분춘   쓸쓸한 서재의 별도로 작은 화분에 봄이 있구려.

化工自是無停息   화공자시무정식   조화의 공교로움은 저절로 멈추거나 쉼이 없으니,

豈爲開花媚主人   기위개화미주인   어찌 꽃을 피워 주인에게 아첨하려 하랴?

 

상평운(上平韻) 진:眞  (춘:春, 인:人)

 

[次南君寄柱宇韻] 2수(首)  차남군기주우운    남군이 주우에게 부친 운에 차운하다

 

聖道如天地   성도여천지   공자의 도덕이 하늘과 땅같아서,

曾稱濯漢江   증칭탁한강   증자가 강한의 물로 깨끗이 씻은 듯하다고 칭송하였네.

輿亡人絶亞   여망인절아   맹자가 돌아가자 계승할 이가 끊겼더니,

程出鳳翩雙   정출봉편쌍   정씨(程氏)가 출현하여 봉황이 쌍으로 날았네.

墜绪尋仍接   추서심잉접   무너진 단서를 찾아 그대로 연결시키니,

輶毛任克扛   유모임극강   도덕을 담당하여 마주 들었도다.

閩賢承嫡通   민현승적통   민현(閩賢)의 현인이 적통을 계승하였는데,

江學折師幢   강학절사기   절강(浙江)의 학파는 스승의 깃발을 꺽었다네.

壁竪劉家幟   벽수유가치   벽에는 유씨 집안(劉家)의 기치를 세웠었고,

人靡晉將扛   인미진장강   사람들은 진나라 장수 강을 쓰러트렸네.

蔚然治有手   울연치유수   성대하게 정치하는 솜씨는 있었으나,

惜也杏無邦   석야행무방   애석하게도 비색하여 다스릴 땅이 없었네.

道自垂千古   도자수천고   도는 저절로 천고토록 전하여 지는데,

堂誰揭八窓   당수게팔창   누가 명당에다 여덟 개의 창문을 걸까?

夜長遲白日   야장지백일   밤이 기니 백일(白日)이 더딘 듯하고,

風亂暗靑釭   풍난암청강   바람이 어지럽게 부니 청등이 가물가물하네.

先輩生檀土   선배생단토   선배들 단토(檀土)에 태어나,

當年飮蔗缸   당년음자항   당년에는 항아리의 사탕즙을 마셨네.

每聞留馬洛   매문유마락   매번 낙양에다 말을 머물게 하였음을 듣겠고, 

更見赴張瀧   경견부장농   다시 농수(瀧水)에 그물 치러 나감을 보겠네. 

退曲嗟人去   퇴곡차인거   후미진 곳으로 물러나려고 사람이 떠나니 서글프고,

明時慨政厖   명시개정방   태평한 세상에 정치가 문란함이 개탄스럽네. 

齊民均蹙蹙   제민균척척   모든 백성들 골고루 위축이 되어 있는데,

魏闕獨龐龐   외궐독방방   높다란 대궐에서만 유독 살이 찐 듯하네.

締掖皆唐李   체액개당이   후궁과 체결하여 용사한 것은 당나라 이임보(李林甫)가 그리하였고,

浮扁有漢逄   부편유한방   거룻배를 띄운 것은 한나라의 방안(逄安)이였네.

賦煩資噬虎   부번자서호   세금이 번거로워 산중으로 도망하니 범에게 물릴 밑거리를 만들고,

催急因呵尨   최급인가방   납부하기를 다급하게 재촉하니 짖어대는 삽살개를 꾸짖느라 고단하네.

有介吾非石   유개오비석   지조가 있지만 돌이 아니니,

臨津孰擬矼   임진숙의강   나루에 다달아 누가 징검다리에 비교할까?

只勤瞻北極   지근첨북극   단지 북극성 처다보기를 부지런히 하고,

且學隱南淙   차학은남종   또 남종(南淙)처럼 은둔하가를 배운다네.

坐兀心收想   좌올심수상   꼼짝 않고 앉아 마음으로 생각을 거둬들이니,

交稀耳斷跫   교희이단공   드문 교유로 귀에는 발자취 소리 끊기네.

嘲鋒文莫解   조봉문막해   비난의 예봉은 글로도 밝힐 수 없고,

愁壘酒難降   수누주난항   시름의 성루는 술로도 항복시키기 어렵다네.

抱卷君專著   포권군전저   책을 안은 그대 오로지 밝으니,

聞鐘子半撞   문종자반당   한밤중에 치는 종소리 들리네.

豈無時際會   기무시제회   어찌 좋은 때를 만날 기회가 없겠는가?

休恨俗囂哤   휴한속효방   세속의 시끄럽고 난잡함을 한탄하지 말게나.

詩學我嘗聞   시학아상문   시(詩)와 학문은 내가 일찍 들었으니,

請與君一講   청여군일강   그대와 같이 한번 강론하여 보세나.

有質方有采   유질방유채   바탕이 있어야 바야흐로 문채가 있는 법이니,

無源卽絶港   무원즉절항   근원이 없으면 곧바로 뱃길이 끊긴다오.

情性貴自正   정성귀자정   본정과 성품은 스스로 바르게 하는 것이 귀하고,

菑畬宜熟耩   치여의숙강   황무지를 개간하는데는 땅을 깊이 가는 것이 적합하네.

辭嚴體可敬   사엄체가경   말을 엄숙하게 하면 공경할 만하고,

儼若行頓棒   엄약행돈봉   태도가 점잖아 행실도 가지런히 한다면,

自然煥其文   자연환기문   저절로 그 문장이 빛이 나는 법,

珠明滄海蚌   주명창해방   밤에도 빛이 나는 구슬은 창해의 조개에서 난다네.

連城隨處售   연성수처수   연성주(連城珠)가 곳곳에서 팔리니,

豈怕人擬玤   기파인의방   사람을 옥돌에다 비교하는 것이 어찌 겁나랴?

橫杠試戰場   횡강시전장   가로지른 나무로 된 다리를 정쟁터에서 시험하여,

片時劉挫項   편시유좌항   잠시동안 유방이 항우의 기세를 꺽기도 하였지.

滔滔用不竭   도도용불갈   도도하게 써도 다함이 없으나,

耻方水盈缿   치방수영항   바야흐로 투서함에 물이 가득함이 부끄럽네.

押韻若神助   압운약신조   같은 운자를 써서 시를 지음에 귀신이 도운 듯하니,

不愁强如傋   불수강여강   억지로 무식한 듯함이 근심되지 않네.

愧余旣不能   괴여기불능   내가 이미 시를 잘할 수 없으니,

破鐘徒自控   파종도자공   종이 깨어진데도 스스로 두드리기만 하는 것이 부끄럽다네.

 

[정씨(程氏:송(宋)나라 때 정호(程顥:명도(明道), 정이(程頣:이천(伊川) 형제(兄弟)가 출연하여

                 끊겼던 도통(道統)을 계승하였음을 말함.]

[민현(閩賢:중국 민중(閩中), 지금의 복건성(福建省)의 현인(賢人)이란 뜻으로 주희(朱熹)를 가리킴.]

[절강(浙江:남송(南宋) 유학파(儒學派)의 하나,

                 절강(浙江)에 살고있던 설계선(薛季宣), 진부량(陳傅亮), 섭적(葉適)을

                 중심으로 하는 공리(功利)를 주장하는 학파(절동학파(浙東學派),영가학파(永嘉學派)]

[집안(劉家:송(宋)나라 철종(哲宗) 때 삭당(朔黨)의 우두머리 격인 유지(劉摯)를 가리킴.]

[연성주(連城珠:진(秦)나라 소왕(昭王)이 조(趙)나라 혜왕(惠王)에게 열다섯 개의 성(城)과 바꾸자고

                 제의했던 유명한 화씨(和氏)의 구슬. 연성벽(連城璧).]

 상평운(上平韻) 강:江 (강:江,쌍:雙,강:扛,당:幢,방:杠,방:邦,창:窓,공:釭,항:缸,농:瀧,방:庬,

                                 방:龐,방:逄,방:尨,강:矼,종:淙,공:跫,강:降,당:撞,방:哤)

상평운(上平韻) 강:講 (강:講,항:港,강:耩,봉:棒,방:蚌,방:玤,항:項,항:缿,강:傋,공:控)

 

[次古人春草夏雲秋月冬雪韻題三全室壁] 4수(首) 차고인춘초하운추월동설운제삼전실벽

옛날 사람이 봄의 풀, 여름의 구름, 가을의 달, 겨울의 눈에 대해 지은

운에 차운하여 삼전실 벽에다 써 붙이다

 

近郭居非隱   근곽거비은   성곽에 가까우니 거처가 은둔할 곳이 못되고,

綠溪路却迷   록계로각미   시내를 따라 가다보니 길이 문득 방향을 잡을 수 없네.

門深無客到   문심무객도   문이 깊숙하니 찿아오는 손님 없고,

簷暖有禽啼   첨난유금제   처마가 따뜻하니 지저귀는 새가 있구려.

小水通池活   소수통지활   작은 물은 연못을 통하여 흐르고, 

經雲出洞低   경운출동저   가벼운 구름은 골짜기 밑에서 나오네.

少多春意思   소다춘의사   많고 적은 봄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看取滿庭萋   간취만정처   뜰에 가득히 무성한 풀을 뜯어다 보도다.

 

日蒸當戶翠   일증당호취   태양이 이글거리니 지게문을 덮고 있는 나무가 푸르고,

炎漲滿階塵   염창만계진   더운 기운이 넘치니 계단에는 먼지가 가득하네.

雀駭盤林虺   작해반림훼   참새는 숲에 서려있는 뱀한테 놀라고,

蠅欺倚枕人   승기의침인   파리는 베개에 기댄 사람을 속이네.

過樓風勢倏   과루풍세숙   다락을 스쳐가는 바람의 기세는 빠르고,

落地雨聲新   낙지우성신   땅에 떨어지는 빗소리는 새롭네.

坐領田家興   죄령전가흥   앉아서 시골집의 흥취를 깨닫게 되었으니,

農談和比隣   농담화비린   농사짓는 이야기로 이웃과 화목하도다.

 

商飇生半夜   상표생반야   가을에 부는 서풍은 밤중에 일어나고,

霜月浴東瀛   상월욕동영   서리내린 달밤은 동해에 목욕한 듯하네.

寥落川原曠   요낙천원광   쓸쓸한 시냇가는 널찍하고,

玲瓏棟宇淸   영롱동우청   영롱한 가옥은 말끔하기도 하네.

篩金松動葉   사금송동엽   금은 체로 치듯 소나무 잎은 움직이고,

綴玉桂垂英   철옥계수영   계수나무 꽃부리가 옥을 실로 꿴 듯 드리웠네.

虛白慿寒枕   허백빙한침   환하고 텅 빈방에서 차가운 베개에 기대어 있으니,

風塵隔漢京   풍진격한경   서울의 세속 일과는 멀기만 하네.  

 

小屋風偏透   소옥풍편투   조그마한 집에 바람은 치우치게 불어들어,

寒樓幄晩收   한루악만수   곤궁한 은둔처에서는 휘장을 늦게야 걷어올리네.

雪深人不掃   설심인불소   눈이 깊숙하니 사람이 쓸어내지 못하고, 

暾薄溜猶流   돈박류유류   아침 햇살이 얇으니 물방울이 그대로 흘러내리네.

散秩元無事   산질원무사   산질(散秩)은 원래 맡은 일이 없는데,

衰年且斷遊   쇠년차단유   늙어 쇠약한 나이에 노니는 일도 끊겼네.

擁衾時蹙口   옹금시축구   이불로 몸을 감싸고서 가끔 입을 닫고 있는 것은,

只是爲君憂   지시위군우   단지 임금을 위해서 걱정하기 때문이라오.

 

[산질(散秩:품계(品階)만을 가지고 실제로 맡아보는 일이 없는 벼슬.]

상평운(上平韻) 제:齊 (미:迷,제:啼,저:低,처:萋,)

상평운(上平韻) 진:眞 (진:塵,인:人,신:新,린:隣,)

하평운(下平韻) 경:庚 (영:瀛,청:淸,영:英,경:京,)

하평운(下平韻) 우:尤 (수:收,류:流,유:遊,우:憂,)

 

[次柳生碩韻]    차유생석운     유생 석의 운에 차운하다

 

萬事如今不奈何   만사여금불내하   모든 일이 지금처럼 할 수 없으니,

撿身惟恐有毫差   검신유공유호차   자신을 살펴 털끝만큼이라도 어긋날까 두려워했네.

逢場一醉須歡洽   봉장일취수환흡   우연히 어느 장소에서 만나 한번 취하거든 모름지기 흠뻑 즐거워하고,

是是非非莫浪歌   시시비비막랑가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함부로 노래하지 말게나.

 

상평운(上平韻) 지:支 (차:差,)

하평운(下平韻) 가:歌 (가:歌,)

 

[次柱宇寄人韻]    차주우기인운     주우가 다른 사람에게 부친 운에 차운하다

 

我自難容世   아자난용세   나 스스로 세상에 수용 되기 어려운데,

人何獨棄余   인하독기여   남들이 어찌 유독 나만 버린다고 하랴?

猥干張也祿   외간장야록   자장(子張)이 녹봉 구한것을 외람 되다고 여기며,

羞上退之書   수상퇴지서   한퇴지(韓退之)가 글을 올린 것을 부끄럽게 여기네.

夜雨思親苦   야우사친고   밤에 내리는 비는 어버이 생각에 괴롭고,

春風見客踈   춘풍견객소   봄에 부는 바람결에 나그네 보기가 드무네.

歸田非不樂   귀전비불락   전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즐겁지 않은 것이 아니라,

只怕有侵漁   지파유침어   단지 침탈(侵奪) 당함이 있을까 두렵다네.

 

상평운(上平韻) 어:魚 (여:余, 서:書, 소:踈, 어:漁,)

 

[次李生寄柱宇韻](禾+商)   차이생적기주우운    이생 적이 주우에게 부친 운에 차운하다

 

西來物色屬東皇   서래물색속동황   서쪽에서 오는 물색이 봄을 맡은 신에게 소속되어,

旅泊淸寒寄草堂   여박청한기초당   나그네가 묵은 곳이 쓸쓸하여 초당(草堂)에 붙혔다네.

池受晩風開面爭   지수만풍개면쟁   연못에 저녁 바람 받으니 수면이 맑게 열리고,

柳迎時雨展眉忙   유영시우전미망   버드나무 때맞춰 오는 비를 맞으며 눈섭 펴기 바쁘네.

今年更覺君門遠   금년경각군문원   금년에야 그대 있는 곳이 멂을 다시 깨닫게 되었는데,

末路誰如我佩香   말로수여아패향   말로(末路)에 내가 차고 있는 향기를 누가 알랴?

自有繁華分付地   자유번화분부지   스스로 기름지고 번창한 토지를 나눠 줄 수 있으니,

躬耕且可去南陽   궁경차가거남양   몸소 농사를 지으려 남양(南陽)으로 떠남이 좋겠구려.

 

하평운(下平韻) 양:陽 (당:堂,망:忙,향:香,양:陽,)

 

[伏覩邸下思西征將士排律十韻竊擬賡上成二首]  

    복도저하사서정장사 배율십운절의갱상성이수

  

저하께서 서정 장사를 생각하며 배율 십운을 지으신 것을

삼가 보고서 가만히 모방하여 두수를 지어 화답하여 올리다

 

虜勢强梁未易平   로세강양미역평   오랑캐 세력이 강하게 날뛰어 평정하기가 쉽지 않아,

天王赫怒遠徵兵   천왕혁노원징병   명나라 황제가 대단히 화를 내어 멀리서 군사를 징발하였네.

熊羆束隊連年役   웅비속대연년역   곰과 큰 곰[웅비(熊羆)]같은 장사로 떼를 지어 해마다 역사하게 하였고,

蛇鶴團形列陳橫   사학단형열진횡   뱀과 학[사학(蛇鶴)]같은 형세로 여러 진 묶어 가로질러 있네.

建衛偸生人喪節   건위투생인상절   건주위[건위(建衛)]가 생업을 훔치니 사람들은 리듬을 잃어 버렸고,

遼陽沈陸將非英   요양심육장비영   요양성이 적의 침입으로 함락되니 장수가 영웅이 아니네.

子儀更主山東閫   자의경주산동곤   곽자의(郭子儀)가 다시 산동 지역을 주장하고,

邯贊方開海外營   감찬방개해외영   강감찬(姜邯贊)은 바야흐로 해외의 군영을 개척했네.

地限叉河堅鎖鑰   지한차하견쇄약   차하 지역은 경계로 되어 자물쇠를 채운 듯 견고한데,

風經薩水動旟旌   풍경살수동여정   바람이 청천강을 지나니 깃발이 펄렁거리네.

征兒未恨靡家室   정아미한미가실   출정하는 남아가 집안이 허물어지는 것은 한탄하지 않는데,

爲子誰辭衛父兄   위자수사위부형   자식 된 사람으로 부형(父兄) 감싸기를 사양할 자 누구인가?

誓委此身枯作骨   서위차신고작골   맹세코 이 몸을 버려 마른 뼈가 남게 할 것이니,

會看虜目怯逃睛   회간로목겁도정   반드시 오랑캐가 겁에 질려 도망하는 눈동자를 보리라.

常情豈耐邊場苦   상정기내변장고   보통 심정으로 어찌 먼 전장터에서의 고달픔을 견디랴?

義氣惟慙我圉驚   의기유참아어경   의로운 기백은 오직 우리의 변경을 놀라게 함이 부끄럽네.

況自東潛垂寵戀   황자동잠수총연   더구나 동쪽에서 잠입한 오랑캐에게 은총과 연민을 드리우고,

剩敎西戌辨鴻名   잉교서술변홍명   여유 있게 서쪽을 경비하는 군사로 하여금 큰 명성을 갖게 하네.

願將十韻編周雅   원장십운편주아   원컨대 이 십운(十韻)을 가저다 주아(周雅)처럼 엮어, 

揭示三軍激至誠   게시삼군격지성   삼군(三軍)에 게시하여 지극한 정성을 격동하게 하소서. 

 

[건주위(건위(建衛:명(明)나라 때 남만주(南滿州) 지방에 살던 여진족(女眞族)을 가리킴.

             건주위(建州衛), 건주좌위(建州左衛), 거주우위(建州右衛)가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조선과 명나라의 힘이 만주에 미치지 못하는 틈을 타서 세력을 확장하여 건주좌위의

             누르하치[노아합역(奴兒哈亦)]가 건주 3위를 통합하여 전 만주를 통일한 후

            (광해군 8,1616)에 후금(後金) 을 세웠음.]

[곽자의(郭子儀:당(唐)나라 명장(名將).

             여기서의 곽자의는 명나라 말 도독(都督)으로 금나라 군대와 싸웠던 유정(劉綎)을 가리킴]

[강감찬(姜邯贊:고려(高麗)의 명장(名將).

             현종(顯宗) 때 거란의 소배압(簫排狎)이 십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흥화진(興化鎭)과 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하였음,

             벼슬은 특 진검교태사 시중천수군 개국후(特進檢校太師侍中川水郡開國候)에 봉해짐,

             여기서 강감찬은 강홍립(姜弘立)을 말함.] 

[주아(周雅: 시경(詩經)의 편명(篇名)인 대아(大雅, 소아(小雅)를 말함.]

 하평운(下平韻) 경:庚, (병:兵, 횡:橫, 영:英, 영:營, 정:旌, 형:兄, 청:晴, 경:驚, 명:名, 성:誠,)

 

[]    우      다시

 

仁衡稱物要施平   인형칭물요시평   좋은 저울로 물건을 닮에 균형이 잡히도록 하는 것이 요긴하며,

把筆模情爲恤兵   파필모정위휼병   붓을 쥐고 정을 그리면서 병사들을 염려하누나.

語切采薇欽燭照   어절채미흠촉조   고사리 캐어 먹었다는 말 절실하게 등불 같이 공경스럽고,

光傳出海仰奎橫   광전출해앙규횡   빛은 해외로 나갈것을 전해주어 빗겨 뜬 규성(규성)을 우러르네.

錫裘宋帝非專美   석구송제비전미   갓옷을 내려준 송나라 황제도 혼자만의 미담이 아니며,

推食劉皇豈獨英   추식유황기독영   밤을 미루어준 한(漢)나라 고조(高祖)도 어찌 홀로 영웅이랴?

翰帶春暉頒北闕   한대춘휘반북궐   서한에 담긴 따뜻한 온정은 북궐(北闕)에서 반포되였고,

波擎惠雨霈西營   파경혜우패서영   물결에 보태어진 은혜로운 비는 서영(西營)에 흡족하도다.

猿蟲荷育爭披甲   원충하육쟁피갑   원숭이와 벌레도 길러준 은혜를 입으면 다투어 갑옷을 입는데,

熊虎紆榮恥逗旋   웅호우영치두선   곰과 호랑이같은 장수들 뒤얽혀 깃발이 머물고 있음이 부끄럽네.

共誓燕臣無二主   공서연신무이주   중국의 신하들과 두 임금이 없음을 함께 맹세하고,

直期唐士戮三兄   직기당사륙삼형   명나라 군사들 세 형과 힘을 합하기를 곧바로 기약하였네.

死而後已心銘髓   사이후이심명수   죽은 뒤에야 그만두겠다는 마음 뼛속에 새기고,

勇可先登眼凸睛   용가선등안철정   용맹히 적진에 먼저 오르겠다는 듯이 두 눈을 부릅뜨네.

閨念燼寒恩有屈   규념신한은유굴   규중에서 남은 추위를 염려하니 은혜에 다함이 있고,

軍容霜肅夜無驚   군용상숙야무경   군영에는 서릿발같은 규율 엄숙하여 밤에도 놀라는 일 없도다.

但知橫草酬洪渥   단지횡초수홍악   단지 산야를 누비며 전쟁하는 게 넓은 은혜를 갚는 것인줄만 아는데,

豈計凌煙勒盛名   기계능연륵성명   어찌 능연각(凌煙閣)에다 성대한 이름 새기기를 계산하랴?

更願離明仍擴此   경원리명잉확차   다시 원하옵건대 저하의 명찰로 이를 확충하여,

莫敎毫忽間純誠   막교호홀간순성   털끝만큼이라도 소홀히 하여 순수한 정성 끊기지 않게 하소서.

 

[북궐(北闕:대궐의 북문(北門) 상주(上奏), 알현(謁見) 등을 하는 자가 출입하는 곳.

                 궁금(宮禁), 또는 경복궁(景福宮)의 별칭.]

[서영(西營:광해군때 명나라가 후금국(後金國)의 건주위(建州衛)를 칠 때에 조선에다 원병(援兵)을 요청하자

                 강홍립(姜弘立)을 오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삼아 2만의 병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주둔한 군영을 가리킴.] 

 하평운(下平韻) 경:庚 (병:兵, 횡:橫, 영:英, 영:營, 선:旋, 형:兄,정:睛, 경:驚, 명:名, 성:誠,) 

 

[柱宇與李  于柳碩家醉歸書一絶以戒之]  주우여이적음우유석가취귀서일절이계지

주우가 이적과 유석의 집에서 술을 마시고 취하여 돌아왔기에 한 절구를 써서 결계하다

 

樽酒論文要德將   준주논문요덕장   술을 마시며 글을 논하는 것은 덕성을 잘 거느리게 하기 위해서인데,

連朝酩酊不瑕傷   연조명정불하상   매일 술에 몹시 취하는데 덕성에 흠이 생기고 손상이 되지 않을까?

欹顚已怕儀多喪   기전이파의다상   기대거나 넘어짐에 이미 위의를 잃은 것이 많을까 두려우며,

昏錯還愁語或狂   혼착환수어혹광   혼란스럽게 착오되어 혹시라도 미치광이 같은 말을 할까 도로 걱정이 되네.

 

하평운(下平韻) 양:陽 (상:傷, 광:狂,)

 

[次李子陵斜川帖韻]    차이자릉사천첩운     이자릉의 사천첩 운에 차운하다

 

君結斜川廬   군결사천려   그대가 사천에 초가집 지으니,

北闕書欲休   북궐서욕휴   대궐에서 내리는 글 멈추려 하네.

豈無解牛手   기무해우수   어찌 소를 가르는 솜씨가 없으랴마는?

恢恢宜刃游   회회의인유   여유있게 처신함이 적합할 듯하네.

郎潛今幾年   낭잠금기년   낭잠(郎潛)한 지 지금 몇 해던가?

汨汨耻同流   골골치동유   거침없는 행동 동류들을 부끄럽게 했지.

夢入洞裏天   몽입동리천   꿈속에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서,

近狎春江鷗   근압춘강구   봄 강물에 노니는 갈매기와 가까이하네.

模成一幅圖   모성일폭도   한 폭의 그림을 본뜬듯,

分明某水邱   분명모수구   그 물과 그 언덕 분명하구려.

因名遡千古   인명소천고   인해서 천고를 거슬러 이름을 붙이며,

竊擬淵明儔   절의연명주   가만히 도연명(陶淵明)의 짝으로 비교 할만하네.

試和層城歌   시화층성가   시험삼아 층성가(層城歌)에 화답 하였더니,

羣仙爭唱酬   군선쟁창수   많은 신선들 다투어 글을 지어 주고 받았지.

有地又有詩   유지우유시   땅도 있고 또 시도 있으니,

古今人同不   고금인동불   옛날 사람과 지금의 사람 같은가 다른가?

倘賦歸去來   당부귀거래   혹시 귀거래사(歸去來辭) 읊고서,

彩菊仍忘憂   채국잉망우   국화를 캐며 근심을 잊으리라.

息交且樂天   식교차락천   교유하던 것도 중지하고 또 자연을 즐기는데,

駕言將焉求   가언장언구   수레를 타고서 장차 무엇을 구할 것인가?

 

하평운(下平韻)  우:尤 (휴:休, 유:游, 유:流, 구:鷗, 구:邱, 주:儔, 수:酬, 불:不, 우:憂, 구:求,)

 

[次一松遊道峰書院雲]   차일송유도봉서원운     일송이 도봉서원에서 노닌 운에 차운하다

 

當年座上一團春   당년좌상일단춘   그해의 그 자리에는 한 덩어리의 봄기운 같았으니,

千古吾東道脉眞   천고오동도맥진   천고토록 우리 동방의 진정한 도의 맥일레라.

衣未及摳生太晩   의미급구생태만   미처 옷을 걷어 올리며 경의를 표하지 못하게 너무 늦게 태어났으나,

廟猶祗謁慕逾新   묘유지알모유신   오히려 사당에 공경히 알현하니 사모하는 마음 더욱 새롭네.

詠歸曾氏超諸子   영귀증씨초제자   시를 읊고 돌아오겠다던 증씨(曾氏)는 여러 제자글 가운데서 뛰어났고,

吟弄伊翁起後人   음롱이옹기후인   도를 읊으며 흥겨워한 이옹(伊翁)은 후세 사람을 일으켰네.

遙想玉峯踈雨過   요상옥봉소우과   옥봉(玉峯)에 성긴 빗줄기 지나가는 것을 상상하는데,

滿川花柳更精神   만천화유경정신   시냇가에 가득한 꽃과 버들은 정신을 가다듬게 하도다. 

雪後松篁帶晩春   설후송황대만춘   눈이 내린 뒤에도 소나무와 대나무는 늦도록 봄빛을 띠는데, 

及泉雷雨寵儒眞   급천뢰우총유진   구천에까지 미친 임금의 노여움과 은혜는 참된 선비를 사랑해서이네.

報功祠宇何年創   보공사우하년창   공훈에 보답하는 사당은 어느 해에 창건하였던가?

衛道規模此日新   위도규모차일신   도학을 보위하는 규모가 이날 따라 새롭구려.

正通分明傳往聖   정통분명전왕성   바른 법통은 분명하게 옛날의 성인을 전수 받았고,

遺芳藹郁襲遊人   유방애욱습유인   남긴 향기는 무성하게 노니는 사람에게 엄습하네.

吾衰尙有周公夢   오쇠상유주공몽   내가 늙었으나 아직도 주공(周公)을 만나는 꿈을 꾸니,

怳接洋洋地水神   황접양양지수신   어렴풋이 양양(洋洋)하게 땅과 물의 신령을 접할 듯하도다

.

[도봉서원(道峰書院: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를 주벽(主壁)으로 모신 서원. 양주(楊州)의 도봉산 아래에 있음.]

[증씨(曾氏: 증씨는 공자(孔子)의 제자 증점(曾點)을 가리킴]

 

상평운(上平韻)  진:眞 (진:眞, 신:新, 인:人, 신:神,)

 

[滯直送春有感口占]      체직송춘유감구점   

대궐에 머물러 숙직하며 봄을 보내게 된데 느낌이 있어 읊다

 

雨自前宵下   우자전소하   비는 어제 밤부터 내리는데,

春從此日歸   춘종차일귀   봄은 오늘을 따라 돌아가누나.

隕紅花欲盡   운홍화욕진   붉은 빛이 떨어지니 꽃은 다 지려하고,

呈翠葉初肥   정취엽초비   푸른 빛이 드러나니 잎새는 처음으로 살이쪘네.

晝漏疑還促   주누의환촉   낮시간을 알리는 물시계 재촉하는듯 의심스럽고,

晨暉見却微   신휘견각미   새벽 빛은 문득 희미하게 보이도다.

戀鄕長禁直   연향장금직   고향을 그리워하며 여러 날 대궐에서 숙직하니,

生翰幾時飛   생한기시비   언제 날개가 돋아 날아볼꺼나?

 

상평운(上平韻)  미:微 (귀:歸, 비:肥, 미:微, 비:飛,)

 

[用前韻呈鄭員外]    용전운정정외     앞서 운을 사용하여 정 좌랑에게 주다

 

不挽還如挽   불만환여만   만류하지 않는 것이 도리어 만류하는 듯한데,

思歸苦未歸   사귀고미귀   돌아갈 생각을 하면서 못가니 괴롭구려.

分銜華亦假   분함화역가   분관(分館)에서의 직함 화려해도 임시직이니,

薄祿飽何肥   박록포하비   적은 녹봉으로 배불리 먹은들 살이찌랴.

花柳辰虛負   화유진허부   꽃피고 버들 늘어진 계절 헛되이 저버렸으니,

松篁逕自微   솔황경자미   소나무와 대나무 늘어선 오솔길 저절로 희미하네.

誰知禁直夢   수지금직몽   누가 알기나 하랴 대청에서 숙직하는 꿈속에,

夜夜故園飛   야야고원비   밤마다 옛날 전원으로 날아가는 것을.

                                      위는 고달픈 타관 살이[우기고(右羈苦)

상평운(上平韻)  미:微 (귀:歸, 비:肥, 미:微, 비:飛,) 

 

風塵相見晩   풍진상견만   병란으로 서로 만난 것이 늦어졌으나,

爛熳竟同歸   란만경동귀   어지러웠던 상황에서 마침내 함께 돌아가게 되었네.

宦路年俱老   환로년구노   벼슬길에서 함께 늙었지만,

田園遯未肥   전원둔미비   전원을 피하면 살이 안 찌네.

世危空志大   세위공지대   세상이 위태로우니 공연히 뜻은 크지만,

時舍豈才微   시사기재미   시대가 버리는데 어찌 재능이 미미해서이랴?

此別不須恨   차별불수한   지금의 이별 모름지기 한하지 마오,

南鴻次第飛   남홍차제비   남쪽의 기러기 차례로 고향을 찾으리.

                                      위는 이별의 서술[우서별(右叙別)]

상평운(上平韻)  미:微 (귀:歸, 비:肥, 미:微, 비:肥,) 

 

[詩材]     시재     시를 쓰는 재료

 

珍重詩家匠   진중시가장   시인의 솜씨는 진귀하고 소중하게 해야하니,

經營要實枚   경영요실매   시를 다듬는 데는 하나하나 충실함이 요구되네.

幾鳩樑棟槕   기구량동탁   몇 개의 들보와 기둥감을 모으고,

更揀楔楣榱   경간설미최   다시 문설주며 서까래를 가려내야 하네.

月露供神構   월로공신구   달밤의 이슬처럼 신비롭게 구상하고,

風雲入妙裁   풍운입묘재   바람과 구름같이 변화무쌍한 묘경에 들어 재단해야 하네.

用之還不渴   용지환불갈   아무리 써도 도리어 다하지 않으니,

夫子信多材   부자신다재   부자(夫子)는 참으로 재료가 많도다.

 

상평운(上平韻)  회:灰 (매:枚, 최:榱 , 재:裁, 재:材,)

 

[贈金子中時讓]    증김자중시양     김 자중 시양에게 주다

 

塞北當時去國賢   새북당시거국현   북방 변경으로 귀양가던 당시에 도성을 떠나는 어진 이였는데,

天東此日鬢猶玄   천동차일빈유현   귀양지가 영해로 옮겨진 오늘엔 구렛나루 아직도 검다네.

坐江慣學程夫子   좌강관학정부자   강가에 앉아서는 정부자(程夫子)를 익숙하게 본받았고,

蹈海仍追魯仲連   도해잉추노중연   바다에 빠져죽겠다는 뜻은 노중련(魯仲連)을 그대로 따랐도다.

共賞龍魚知有數   공상용어지유수   훌륭한 인물과 함께 함도 운수에 달렸음을 알겠고,

穩傾鸚鵡信多綠   온경앵무신다록   말 잘하는 쪽으로 기우는데서 인연 많음을 믿게 되었네.

誰敎拂鬱增君器   수교불울증군기   누가 이 답답함을 떨쳐 버리고 그대의 그릇을 키워서,

白首行看大用年   백수행간대용년   늙으막에 크게 기용되는 모습 보게 하려나.

 

[정부자(程夫子:송(宋)나라 때 학자 정호(程顥), 정이(程頤)의 형제(兄弟)를 말함.]

[노중련(魯仲連: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 사람.]

 하평운(下平韻)  선:先 (현:玄, 연:連, 록:綠, 년:年,)

 

[野城次趙子長]    야성차조자장     야성에서 조 자장 운에 차운하다

 

幸今後樂堂中宿   행금후락당중숙   다행히 오늘 후락당(後樂堂)에서 유숙하게 되였지만,

其奈先憂未盡除   기내선우미진제   나라일에 대한 걱정 모두 없애지 못하는 데야 어쩌랴?

萬事公私俱繋念   만사공사구계념   모든 일에는 공(公)과 사사로움이 함께 얽혀 있어,

五庚殘夢苦吟餘   오경잔몽고음여   한밤중 꿈속에서까지 남아 괴롭게 읊어대었네.

 

[야성(野城:경상북도(慶尙北道) 영덕(盈德)의 신라(新羅) 때 이름. 야시홀(也尸忽)이라고도 했음.]

 하평운(下平韻)  어:魚 (제:除, 여:餘,)

 

[次淸河壁上韻]     차청하벽상운   청하의 벽상운에 차운하다   

 

雨後長程日欲殘   우후장정일욕잔   비개인 뒤 여정에 해가 지려고 하니,

抱愁行客惱心官   포수행객뇌심관   시름을 안고 있는 나그네의 마음을 번뇌하게 하네.

縣藏煙樹丹靑古   현장연수단청고   고을에는 내낀 나무에 가려진 단청이 예스러워 보이고,

軒帶風篁韻象寒   헌대풍황운상한   헌함에는 바람과 대나무 기운 띠어 운치 서늘하도다.

河到幾時占運泰   하도기시점운태   언제나 황하 다달아 태평의 운수 점지하려나,

溟橫萬里接天漫   명횡만리접천만   바다는 만리로 가로질러 하늘에 닿아 아득하네.

朝來扶病登樓望   조래부병등루망   아침에 병든 몸 부축하여 다락에 올라 바라보니,

堪恨荒田郭外寬   감한황전곽외관   황폐해진 전지 성곽 밖에 넓직하게 한스럽구려.

 

상평운(上平韻)  한:寒 (관:官, 한:寒, 만:漫, 관:寬,)

 

[小蓬臺]     소봉대

 

鰲老當年力不勝   오노당년력불승   해묵은 큰 자라가 있던 당년에도 힘으로 감당하지 못해,

三山一角偃仍崩   삼산일각언잉붕   삼신산의 한 뿔이 넘어져 그대로 무너졌네.

中流萬里騰波沫   중유만리등파말   만리 바다 가운데로 흐르니 물결은 치솟아 거품이 일고,

橫泊千秋接地稜   횡박천추접지릉   천추토록 가로질러 머물고 있으니 땅이 닿는곳에는 모가 졌구려.

喚作蓬臺仙迹古   환작봉대선적고   소봉대를 불러 일으키니 신선의 자취가 예스러운데,

登臨桑海客心競   등임상해객심경   상전벽해(桑田碧海)를 내려다보니 나그네의 마음 조심스럽네.

草生巖隙多靈異   초생암극다령리   바위틈에 돋은 풀 신령함이 많으니,

摠是童男採未曾   총시동남채미증   모두가 동남(동남)들이 일찍이 못 캔 불로초이네.

 

하평운(下平韻)  증:蒸 (붕:崩, 릉:稜, 경:競, 증:曾,)

 

[伴鷗亭]    반구정    반구정에서

 

襟湖蹲麓短   금호준록단   옷깃처럼 둘린 호수며 웅크린 듯한 짧은 산기슭,

界海控岑多   계해공잠다   바닷가 뫼뿌리 올망졸망한데

水勢通潮汐   수세통조석   물의 형세는 조수와 통해 있고,

茅簷露樾蘿   모첨로월라   띠집의 처마에는 그늘을 이룬 칡넝쿨 돋보이네.

漁舟歸夜月   어주귀야월   고기잡이배는 달밤에 돌아오는데,

宿鷺欲晨波   숙로욕신파   잠자던 해오라기 새벽 물결에 목욕하도다.

坐對忘機叟   좌대망기수   세상일 잊은 늙은이와 마주 앉으니,

經風檻外過   경풍함외과   솔솔부는 바람이 헌함밖으로 지나가네.

 

하평운(下平韻)  가:歌 (다:多, 라:蘿, 파:波, 과:過,)

 

[鷄林]     계림     계림에서

 

東溟路欲盡   동명로욕진   동쪽 바다 쪽으로 길이 다하려 하는데,

故國客重來   고국객중래   나그네가 다시 옛날의 도읍지로 왔도다.

大地千年闢   대지천년벽   큰 나라가 천년 동안 번화하였고,

淸川四面回   청천사면회   맑은 시내는 사방으로 둘렸었네.

存亡元有數   존망원유수   존망은 원래 운명에 달려있고,

雲物却興哀   운물각흥애   구름과 만물은 문득 슬픔을 일으키기도 하지.

三姓中吾一   삼성중오일   나도 박석김(朴昔金) 삼성(三姓) 중의 하나이니,

長吟陟晩臺   장음척만대   길게 읊조리며 늦게야 누대에 오르도다.

 

상평운(上平韻)  회:灰 (래:來, 회:回, 애:哀, 대:臺,)

 

[鳳凰臺]     봉황대    봉황대에서

 

落日羣仙會   낙일군선회   해가 지자 뭇 신선이 모여드는데,

翩翩駕鳳來   편편가봉래   여유 있게 봉황새를 타고 오도다.

粧林丹靄起   장림단애기   단장한 수풀에선 붉은 안개가 일어나고,

隔水翠烟回   격수취연회   가로막힌 강에는 푸른 연기 둘려있네.

細咽歌傳古   세인가전고   가느다랗게 읊는 노래가락 예스러움을 전해주고,

經吹笛徹哀   경취적철애   가볍게 부는 피리소리는 애절함이 사무치네.

月城何代迹   월성하대적   반월성이 어느 때의 자취런가?

大醉倚高臺   대취의고대   몹시 취하여 높은 봉황대에 기대였네.

 

상평운(上平韻)  회:灰 (래:來, 회:回, 애:哀, 대:臺,)

 

[永陽次壁上韻]    영양차벽상운     영양에서 벽상의 운에 차운하다

 

客從東海冒災回   객종동해모재회   나그네가 동쪽 바닷가에서 더위를 무릅쓰고 돌아오니,

筵掃經塵向夕開   연부경진향석개   가벼운 먼지를 쓴 자리 석양을 향해 펼쳐있네.

濯熱野恢梅雨過   탁열야회매우과   열기를 씻어내려 넓은 들판에 매화 비가 지나가고,

納凉簷嚝竹風來   납양첨횡죽풍래   서늘한 기운을 받아들이는 대나무 바람이 알렁이네.

报紗細和先賢句   보사세화선현구   사창(紗窓)을 열고 나직이 선현(先賢)의 글귀에 화답하고,

吸露頻傾太守杯   흡로빈경태수배   이슬을 마시며 태수(太守)가 권하는 술잔을 자주 기울였네.

長篴一聲歌數闋   장적일성가수결   긴 피리 소리에 노래는 여러 차례 끝이 났는데,

白雲靑鶴共徘徊   백운청학공배회   흰 구름과 푸름 학이 함께 배회하도다.

 

상평운(上平韻)  회:灰 (개:開, 래:來, 배:杯, 회:徊,)

 

[河陽]     하양     하양에서

 

河陽六月欲風凄   하양육월욕풍처    6월의 하양 서늘한 바람이 불려고 하는데,

小閣新開翠竹西   소각신개취죽서   조그마한 누각이 푸른 대나무밭 서쪽에 새로 지어졌네.

日晩空庭無一事   일만공정무일사   저녁이 되자 뜰은 비어 아무 일도 없고,

坐看山鳥倚陰啼   좌간산조의음제   산새가 그늘에서 우는 걸 앉아서 보겠도다.

 

상평운(上平韻)  제:齊 (서:西, 제:啼,)

 

[密城凌波亭次嶺南樓韻]  밀성능파정차영남루운  

밀성의 능파정에서 영남루운에 차운하다

 

炎程暇日乍登樓   염정가일사등루   더운 노정에 여가를 내어 잠깐 영남루에 오르니, 

十里湖山萬古愁   십리호산만고수   십리나 되는 호수며 산이 만고토록 시름에 젖게 하누나.

遠樹依依縈晩嶼   원수의의영만서   멀리 보이는 나무는 어렴풋하게 저물어 가는 섬에 둘려 있고,

孤舟漾漾泛中流   고주양양범중류   외로운 배는 물결 일렁이며 중류(中流)에 떠 있네.

千竿嫩竹吟邊翠   천간눈죽음변취   일천길 장대 연한 대나무는 시를 읊는 주변에서 푸르고, 

一片閑雲望外浮   일편한운망외부   한 조각 한가로운 구름은 하늘가에 떠 있구려.

薄暮經風生水檻   박모경풍생수함   땅거미 질 때에 솔솔 부는 바람 물가 헌함에 불어오니,

却將三伏換三秋   각장삼복환삼추   문득 삼복(三伏)의 더위가 삼추(三秋)로 바뀐 느낌이네.

 

하평운(下平韻)  우:尤 (수:愁, 류:流, 부:浮, 추:秋,)

 

[咸陽次韻]    함양차운     함양에서 차운하다

 

韶顔十載換衰客   소안십재환쇠객   젊던 얼굴 십년만에 노쇠한 모습으로 바뀌었으니,

驛路三庚客意慵   역로삼경객의용   삼복 더위에 여행하는 나그네의 마음 게을러 보이네.

經亂鉅城殊舊誌   경난거성수구지   난리 격은 후 큰 성이 예전의 기록과는 달라졌는데,

誕賢名里有遺蹤   탄현명리유유종   어진 이가 태어난 이름난 마을에 남은 자취 있구려.

式衡還愧爲襟馬   식형환괴위금마   높은 관원이 되어 예의를 아는 것이 도리어 무식한 것보다 부끄러우니,

間瘼終何補袞龍   간막종하보곤용   병폐를 묻는 것이 종내는 임금에게 보탬이 되는 데야 어쩌랴?

不耐公私多少感   불내공사다소감   공정하고 사사로운 많고 적은 감정을 견디지 못하여,

坐看雲外碧千峰   좌간운외벽천봉   구름 위로 솟은 일천 산봉우리를 앉아서 본다오.

 

상평운(上平韻)  동:冬 (용:慵, 종:蹤, 용:龍, 봉:峰,)

 

[德溪次韻]    덕계차운     덕계에서 차운하다

 

勝地人耽賞   승지인탐상   경치 좋은 곳에는 사람이 구경을 하려고 욕심을 부리는데, 

晴樓日欲移   청루일욕이   맑게 개인 다락에는 해가 뉘엿뉘엿 지려하네. 

鶴飛經雨峽   학비경우협   학은 비가 거쳐간 골짜기로 날아가고,

蟬咽近秋枝   선인근추지   매미는 가을이 가까워진 가지에서 흐느끼네.

飄忽風來遠   표홀풍래원   거센 바람은 멀리서 불어오는데,

涵虛水去遲   함허수거지   마알간 물은 더디게 흘러가네.

詩成仙趣足   시성선취족   시가 이루어지니 신선의 풍취가 만족스러운데,

香動晩荷時   향동만하시   향기는 늦게 핀 연꽃에서 가끔 움직이도다.

 

상평운(上平韻)  지:支 (이:移, 지:枝, 지:遲, 시:時,)

 

[巨濟贈趙持平誠立]    거제증조지평성립     거제에서 지평 조성립에게 주다

 

銜泥亦覺南來遠   함니역각남래원   왕명을 받들었으니 남쪽 멀리 온 줄 알겠고,

佩玦寧堪北望長   패결영감북망장   옥패를 찼으니 오래도록 대궐을 그리는 마음 어찌 견다랴?

夜泊樓船先問子   야박누선선문자   누선(樓船) 밤에 정박하자마자 먼저 그대 안부 물었더니,

喜聞髭髪尙如常   희문자발상여상   윗수염과 머리카락 아직도 그전 같다는 기쁜 소식 들었소.

 

하평운(下平韻)  양:陽 (장:長, 상:常,)

 

[自金海向梁山舟中口占]   자김해향양산주중구점   김해에서 양산으로 가는 배 안에서 읊다

 

十年平地慣驚波   십년평지관경파   십년을 평지에 살면서 놀란 파도에도 익숙해졌는데,

江海狂風不我何   강해광풍불아하   강과 바다에서 부는 미친 바람이 나를 어떻게 하지는 못할 것을

坐倚篷窓眼且穩   좌의봉창안차온   숙대로 엮은 창문을 의지하고 앉았으니 졸음 또한 온편하여,

烏游無恙瞥然過   오유무양별연과   오유나루를 탈없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났네.

 

[오유나루는 바닷가 나루 가운데서 험악한 곳으로 역풍(逆風)을 만나게 되면 침몰 당하지 않는 경우가 적었다.

  그런데 이날 풍랑이 크게 일어 뱃사공이 모두 배를 정박하기를 요청하였지만 내가 허락하지 않았다.

  조금 지나니까 풍랑이 그쳐서 편안히 지나가게 되였다.]

 하평운(下平韻)  가:歌 (하:何, 과:過,)

 

[東萊次壁上韻]    동래차벽상운    동래에서 벽상의 운에 차운하다

 

原野周邦尙草萊   원야주방상초래   평원 광야  같던 주나라도 황폐화 되었는데,

大夫齊邑豈非才   대부제읍기비재   대부(大夫)격인 제나라 고을이 모두 임무 감당하지 못했다하랴?

富强業逐兵塵盡   부강업축병진진   부유하고 강성한 업적은 반드시 전쟁을 수행한 뒤에 있고,

衰病人銜特地來   쇠병인함특지래   쇠약하고 병든 사람이 특별한 곳에 사명을 띠고 왔도다.

慾盡流亡心幾惱   욕진류망심기뇌   흩어져 도망한 모습을 그리려 얼마나 번뇌했던가?

相逢故舊眼還開   상봉고구안환개   옛 친구를 만나니 눈이 번쩍 뜨이는 듯하네.

晴軒晩酌猶堪喜   청헌만작유감희   갠 동헌에서 저물녘에 마시는 술맛과 즐거움은, 

不必明朝上海臺   불필명조상해대   내일 아침 바닷가 다락에 오를 필요가 없을 정도이라네.

 

상평운(上平韻)  회:灰 (재:才, 래:來, 개:開, 대:臺,)

 

[玄風次五峰詠梅二首]   현풍차오봉영매이수   현풍에서 오봉의 대화를 읊은 운에 차운하다

 

晦根馨德暗中新   회근형덕암중신   뿌리를 감춘채 덕스러운 향기가 암암리에 새로워,

凝閉乾坤耻媚人   응폐건곤치미인   엉기고 막힌 천지 사이에서 아양떠는 이를 부끄럽게 하네.

會待陽回殘雪裏   회대양회잔설리   녹다 남은 눈속에서 양기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니,

一庭方看滿枝春   일정방간만지춘   한 곳의 뜰에서 바야흐로 가지에 가득한 봄빛을 보리라.

 

爲問孤叢幾日新   위문고총기일신   묻노니 외로운 떨기 몇일이나 새롭던가?

靑枝閑似白頭人   청지한사백두인   푸른 가지는 한가하기가 머리 센 늙은이 같구려.

憑君莫道淸香盡   빙군막도청향진   그대 핑계로 도의 맑은 향기 다 했다고 말하지 마오,

更有湖天臘後春   경유호천랍후춘   호수와 자연에는 설 지난 뒤의 새봄이 다시 오리라.

 

상평운(上平韻)  진:眞 (인:人, 춘:春,)

 

[新安謝諸友]    신안사제우    신안의 여러 벗에게 사례하다

 

秋風驛路碧珍城   추풍역로벽진성   가을 바람 불 때 벽진성을 지나게 되었는데,

霜後南山欲瘦形   상후남산욕수형   서리 내린 뒤의 남산 모습 앙상해지려 하네.

客宿東軒猶舊主   객숙동헌유구주   나그네가 동헌에서 머무니 마치 옛날 주인 같아,

人投刺帖摠深情   인투자첩총심정   주민들 명함을 올리니 모두가 깊은 정에서 우러나는 것이네.

隔江離恨看頭白   격강리한간두백   강물이 가로막힌 이별의 한은 센 머리에서 보겠고,

握手歡悰驗眼靑   악수환종험안청   손을 잡고 좋아하는 마음은 반짝이는 눈빛에서 증명되도다.

莫作當年黔首拜   막작당년건수배   당년에 관할 주민으로서 찾아와 인사하려 하지 말고,

直須心曲兩相傾   직수심곡양상경   단지 심중의 말을 서로 털어놓았으면 하네.

 

하평운(下平韻)  청:靑 (형:形, 청:靑,), 경:庚 (성:城, 정:情, 경:傾,)

 

[舟中有吟]    주중유음     배 안에서 읊다

 

雨雪連朝霽苦遲   우설연조제고지   비와 눈이 아침까지 잇달아 날씨가 개이기는 더딜 듯한데,

江流澌漲活無涯   강유시창활무애   강물은 모두 얼어붙어 가이없이 넓기만 하네.

蹴氷波湧龍鱗鬪   축빙파용용린투   얼음을 차는 물결 솟아올라 용의 비늘에 부딪치고,

擊櫓聲高鷁首危   격노성고익수위   노를 치는 소리 드높아 돛대 끝 바람개비가 위태롭네.

水店寞煙生欲暗   수점막연생욕암   물가 주막의 저녁 연기 피어올라 저무려 하는데,

韶城前路踏迷期   소성전로답미기   봄 성의 앞길을 밟기는 하지만 기약이 아득하네.

從來坎險難能濟   종래감험난능제   그전부터 험난한 구덩이도 능히 건넜으니,

爲問商川更用誰   위문상천경용수   묻노니 상천(상천)에 다시 누구를 이용할 것인가?

 

상평운(上平韻)  지:支 (애:涯, 위:危, 기:期, 수:誰,)

 

[義興次壁上韻]    의흥차벽상운     의흥에서 벽상운에 차운하다

 

閑官心事却無閑   한관심사각무한   한가로운 관원의 심사 역시 한가하진 않아,

坐對孤燈夜欲闌   좌대고등야욕란   외로운 등불을 마주하고 앉았으니 밤은 깊어만 가네.

滿路流離何處泊   만로유이하처박   길에 가득히 떠돌아다니는 주민 어느 곳에서 머물 것인가?

屠生世界不曾寬   도생세계불증관   생민을 죽이는 세계에는 일찍이 너그러움이 없도다.

星軺換歲空耗廩   성초환세공모름   사명을 받든 몸 해가 바뀌어도 공연히 국고만 소모하고,

雪鬢明朝更據鞍   설빈명조경거안   눈처럼 허연 구렛나루로 내일 아침이면 다시 말안장에 의지한다오.

頼有慈祥新太守   뢰유자상신태수   새로온 자상한 태수에게 의뢰하여,

能如村落屬艱難   능여촌락속간난   촌락이 어려운 가운데 있음을 잘 알게 되었네.

 

상평운(上平韻)  한:寒 (란:闌, 관:寬, 안:鞍, 난:難,)

 

[新寧曉起雪下數尺許變作別 樣境界遂吟一律]  

    신영효기설하수척허변작별 양경계수음일율

 

신령에서 새벽에 일어나 보니 눈이 몇 자쯤 내려

특별한 모양의 지경으로 있으므로 마침내 율시 한 수를 읊다

 

竹閣春風早   죽각춘풍조   대나무가 있는 누각에는 봄바람이 이른데,

梅庭夜雪深   매정야설심   매화 핀 뜰에는 밤사이 내린 눈이 수북히 쌓였네.

倚窓多病客   의창다병객   창문에 기댄 병 많은 나그네가,

憂國願豊心   우국원풍심   나라를 근심하며 풍년 들기를 바라는 마음 뿐이네.

白屋貧誰賴   백옥빈수뢰   초가집의 가난함을 누구에게 의뢰하랴?

蒼天意莫諶   창천의막심   아득한 하늘의 뜻 믿지 못하겠네.

詩成緣感發   시성연감발   시도 감흥이 일어야지 짓지,

不是愛閒吟   불시애한음   한가함을 아끼느라 읊는 것 아니라오.

 

하평운(下平韻)  침:侵 (심:深, 심:心, 심:諶, 음:吟,)

 

[洛下偶吟    낙하우음     서울에서 우련히 읊다

 

古來宗社重   고래종사중   옛날부터 종묘 사직이 소중하였는데,

今見國君經   금견국군경   지금에는 나랏님이 업신여김을 당하도다.

共戚臣無賴   공척신무뢰   믿을수 없는 신하를 함께 슬퍼해야 하고,

專權賊盡刑   전권적진형   권세 부리는 도적들 모두 벌주라고

義知豪士倡   의지호사창   의리 아는 호방한 선비 앞장서니,

仁信聖人行   인신성인행   인애는 성인이 행함을 믿게 되였네.

爲報昌言子   위보창언자   큰소리 치는 이들에게 알리노니,

須將覆轍明   수장복철명   모름지기 실패한 자취가 분명함을 기억하게나.

 

하평운(下平韻)  경:庚 (경:輕, 형:刑, 행:行, 명:明,)

 

[洛下次寄追韻]     낙하차기추운     서울에서 추가로 부쳐온 글에 차운하다

 

直下三春趁晩晴   직하삼춘진만청   줄곧 석 달의 봄이 뒤늦게야 개이니,

明朝且踏嶺南程   명조차답영남정   내일 아침이면 또 다시 영남(嶺南)의 노정을 밟겠네.

入門定慰王孫母   입문정위왕손모   고향집 문을 들어서면 기다리는 어머니를 위로할 수 있겠으나,

戀闕其如去國情   연궐기여거국정   대궐을 생각하면 서울을 떠나는 마음 어떠하다 하랴?

 

하평운(下平韻)  경:庚 (정:程, 정:情,)

 

[院生萱草前後直員爲賦絶句謹次]    원생훤초전후직원위부절구근차

정원에 원추리가 났으므로 앞뒤로 숙직한 관원이 절귀를 읊었으므로 삼가 차운하다

 

東風西內翠迷庭   동풍서내취미정   봄바람이 대궐의 서쪽 푸른 기운 감도는 정원에 불어오니,

天種神培問幾   천종신배문기령   하늘이 심고 귀신이 가꾸기를 몇 해나 하였던가?

 

 

苑吏豈能容易剪   원리기능용역전   동산을 맡은 관리가 어찌 귑게 자를 수 있겠는가?

 

 

護宮鄕月帶民星   호궁향월대민성   궁궐과 백관을 보호하고 대중성을 띠고 있는 존재를.

 

하평운(下平韻)  청:靑 (령:㱓, 성:星,)


[別鄭汝廓彦宏赴高城]  별정여곽언굉부고성   정 여곽 언굉이 고성에 부임하는데 작별하다

 

赬尾堪燐燬室魴   정미감린훼실방   방어의 붉은 꼬리처럼 왕실이 불타는 가련함을 어이 견디랴?

大東天地劇含瘡   대동천지극함창   조선 천지에 극도의 상처를 머금게 되었네.

新王政在分憂急   신왕정재분우급   새 임금의 정치는 적합한 지방관을 얻는걸 급선무로 두어,

舊德人充共理良   구덕인충공리양   그전부터 덕있는 인재로 채워서 함께 잘 다스리려 하도다.

終古勝區高郡最   종고승구고군최   만고토록 경치 좋기로는 고성 고을이 최고인데,

卽今仙分鄭君强   즉금선분정군강   이제 신선이 될 소질과 연분이 있는 정군이 그곳을 맡개 되었네.

字民有暇開吟眼   자민유가개음안   주민을 다스리는 여가에 글짓는 안목 열릴 터이니, 

澤溢雷封句滿囊   택일뢰봉구만낭   혜택은 관할 고을에 넘치고 글귀는 주머니에 가득하리라.

 

하평운(下平韻)  양:陽 (창:瘡, 양:良, 강:强, 낭:囊,)

 

[別權守之泰一之全州]   별권수지태일지전주   권 수지 태일 전주로 떠나는데 작별하다

 

烏哺深誠格九天   오포심성격구천   어버이를 봉양하려는 깊은 정성이 하늘을 감동시켜,

虎符南路去翩翩   호부남로거편편   군사 징발의 명을 받아 남쪽으로 떠나는 모습 가볍게도 보이네.

大才已自銀臺試   대재이자은대시   큰 재능은 이미 승문원[은대(銀臺)]에 있을 때부터 인정 받았고,

治理曾徵嶺石鐫   치리증징령석전   다스리는 도리는 일찍이 산마루에 새워진 빗돌에서 징험이 되었네. 

百里化成忠更著   백리화성충경저   백리 고을을 교화하니 충(忠)이 다시 나타나게 하였고,

三牲養極孝方全   삼생양극효방전   세 번 희생으로 어머니를 극진히 봉양하여 효도 온전히 하였네,

爲臣爲子如公可   위신위자여공가   신하로서 자식으로서의 도리 그대처럼 하는 것이 옳으니,

愧我龍鍾等棄筌   괴아용종등기전   나 자신도 쇠하여 쓸모 없이 버려진 통발 같은 신세 부끄럽도다.

 

하평운(下平韻)  선:先 (편:翩, 전:鐫, 전:全, 전:筌,)

 

[貸五斗米於李君顯彦英報曰以梨花之鬓而有此求可以觀世道也云云還償之際仍寄一絶]

      대오두미어이군현언영보왈이이화지빈이유차구가이관세도야운운환상지제잉기일절

 

얼마 안되는 녹미를 이군현 언영에게 빌리면서 알리기를 구렛나루가 배꽃처럼 허연대도 벼슬을

할려고 하니 세상의 도의를 볼 수 있다고 하였는데 빌린 것을 도로 갚을 때에 한 귀절을 부친다

 

梨花香寂寞   요빈이화향적막   배꽃처럼 둘린 구렛나루 향기는 적막한데,

滿頭霜雪氣蕭疎   만두상설기소소   서리와 눈처럼 하얗게 센 머리칼에 기상도 쓸쓸하네. 

一年三食西班祿   일년삼식서반녹   한해 세 차례 나눠주는 무관의 녹봉으로는,

每趂寒廚斷火餘   매진한주단화여   매번 쪼들리는 부억살림 굶기가 일쑤이네.

 

상평운(上平韻)  어:魚 (소:疎, 여:餘,)

 

[寄示李思彦尙伋]    기시이사언상급     이 사언 상급에게 부처서 보이다

 

昌辰來毁德非高   창진래훼덕비고   국가가 융창할 때에는 덕이 높지 않으면 비난을 받으니,

虛鑑分形媸豈逃   허감분형치기도   마알간 거울에 제모습 드러나는 추한 꼴 어떻게 도피하랴?

歸去故園安素履   귀거고원안소리   전원으로 돌아가 본분 지키기를 편안히 여기면서,

却裝忠孝付時豪   각장충효부시호   항차 충효를 가져다 호걸에 부치지 말게나.

 

材散元非杞梓良   재산원비기재양   쓸모 없는 재목은 원래 소태나무나 가래처럼 좋은 재목감이 아니니,

雖無尺杇棄何妨   수무척오기하방   비록 조그마한 결점이 있더라도 버리는 것이 어떠랴.

棟隆如見明堂侐   동융여견명당혁   기둥이 높으니 마치 명당(明堂)의 맑고 고요함을 보는 것 같으니,

樗老山南亦寵光   저노산남역총광   쓸모 없는 늙은이 역시 남쪽산에서 은혜 입은 것이네.

 

하평운(下平韻)  호:豪 (도:逃, 호:豪,)  양:陽 (방:妨, 광:光,)

 

[寄朔客]     기삭객     북방의 장수에게 부치다

 

不能知命非君子   불능지명비군자   운명을 잘 모르면 군자가 아니니,

須把榮枯付彼天   수파영고부피천   모름지기 융성과 쇠퇴를 저 하늘에 다 맡기세.

朔野幾曾逢老婦   삭야기증봉노부   북방의 들판에서 일찍이 몇 번이나 늙은 아낙을 만났던가?

定將春夢笑坡仙   정장춘몽소파선   봄꿈을 가져다가 소동파(蘇東坡)를 비웃으리.

 

하평운(下平韻)  선:先 (천:天, 선:仙,)

 

[別柳侯季華]    별유후계화     유 성주 계화와 작별하다

 

不器方知器器通   불기방지기기통   가 없는 자질에서 아무 그릇에나 통할 수 있음을 알게 되는법,

材宜大受小猶工   재의대수소유공   재능은 크게 기용되고 작은 임무도 솜씨 있게 다뤄야지.

到頭酬酢要循理   도두주작요순리   맨 나중의 주고 받는 것은 순리를 따르도록 바라고,

隨處規裁務恊中   수처규재무협중   어디서나 경계하고 재단해 중도에 맞도록 힘썼네.

國召黃侯應驥展   국소황후응기전   황후(黃侯)를 불러들임은 응당 큰 능력을 발휘하게 하자는 것,

民離杜母奈魚喁   민이두모내어우   주민들이 두모(杜母)를 떠나보내듯 그를 사모하는 정 어찌하랴?

須將邁種承虞聖   수장매종승우성   모름지기 앞으로 덕을 닦아 요임금같은 성군이 되도록 잘 받들어,

均播仁風遍我東   균파인풍편아동   어진 기풍을 우리 동방에 골고루 전파하게 하세.

 

상성운(上聲韻)  동:東 (공:工, 중:中, 우:喁, 동:東,)

 

[次人韻]     차인운     어떤 사람의 운에 차운하다

 

畎畝居還穩   견무거환온   시골에서 생활하니 도리어 온편하여,

詩書味自知   시서미자지   운문과 산문의 맛을 저절로 알겠네.

淵魚方體動   연어방체동   연못의 물고기는 바야흐로 몸을 움직이고,

山鳥欲毛希   산조욕모희   산 속의 새들도 털을 갈려고 하네.

遇興瑤琴弄   우흥요금농   흥취를 만나면 옥으로 장식한 거문고를 뜯으며,

探春竹杖持   탐춘죽장지   봄을 찾으려 대나무 지팡이를 들고 나서지.

榮枯元不管   영고원불관   영고 쇠퇴는 원래 중요하지를 않으니,

賢達可同歸   현달가동귀   현명하고 통달하면 귀착점이 같을 수 있다오.

 

하평운(下平韻)  지:支 (지:知, 지:持,)  미:微 (희:希, 귀:歸,)

 

[逢謪友]    봉상우    귀양살이하는 친구를 만나다

 

人間事萬端   인간사만단   인간 게상의 일은 단서가 만 갈래여서,

大低皆可笑   대저개가소   대체로 모두가 가소롭다네.

直須登東皐   직수등동고   곧장 동쪽 언덕에 오라가,

蹙口一長嘯   축구일장소   입을 오무리고 길게 휘바람 한번 불어 보세.

 

거성운(去聲韻)  소:嘯 (소:笑, 소:嘯,)

 

[寄柱宇]     기주우     주우에게 부치다

     原文(원문)

    寄柱宇  기주우

     宋蔡齊飮量過人。自少喜酒。及登壯元第。通判濟州。日飮醇酎。往往至醉。大夫人年已高。頗憂之。

     송채제음량과인。  자소희주。 급등장원제。 통판제주。 일음순주。 왕왕지취。대부인년이고。 파우지。 

     一日山東賈先生存道過濟。齊舘之數日。先生愛其賢。慮其以酒廢學生疾。乃爲詩戒之曰聖君恩重龍頭選。

     일일산동가선생존도과제。  제관지수일。  선생애기현。 려기이주폐학생질。  내위시계지왈성군은중룡두선

     慈母年深鶴髮垂。君寵母恩俱未報。酒如成病悔何追。於是齊起謝之。自是非親客不對酒。雖對酒未甞至醉。

     자모년심학발수。  군총모은구미보。 주여성병회하추。 어시제기사지。   자시비친객불대주。 수대주미상지취。 

     蔡之謚文忠。則其人成就。盖可想矣。余偶閱書史。得見古人遺迹。因思汝不能止飮。遂表而出之。書諸別紙。

     채지익문충。칙기인성취。  개가상의。 여우열서사。 득견고인유적。 인사여불능지음。  수표이출지。 서제별지。 

     因次成三絶以去。噫余之憂。豈止如蔡之大夫人其慮廢學生疾。又豈啻賈先生之於蔡壯元耶。汝須服膺銘髓。

     인차성삼절이거。  희여지우。기지여채지대부인기려폐학생질。    우기시가선생지어채장원야。   여수복응명수。 

     無俾有愧於文忠 

     무비유괴어문충                                                                                   

 

송(宋)나라 채제(蔡齊)는 술을 마시는 양이 다른 사람 보다 지나쳤다.

그는 젊었을 적부터 술을 즐겨 마셨다.

그러다가 장원 급제하여 제주통판(濟州通判)이 되어서도 날마다 전내기술[순주(醇酎)]을 마시고 가끔 취하였으므로,

연세가 많은 그의 대부인(大夫人:어머니)이 매우 염려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산동(山東)의 가존도 선생(매선생 존도(買先生 存道:매동(買同))이 제주를 지나게 되였으므로,

채제가 가선생을 객관에서 며칠 묵도록 하였는데 가 선생이 채제의 현명함을 아끼고 또 그가 술 때문에 학문을 폐기하고

병이 날까 염려하였다.

그래서 바로 시를 지어 경계하기를,

성군의 은혜 중하여 장원으로 뽑혔고              [성군은중용두선(聖君恩重龍頭選)]

자모의 연세 많아 백발이 드리웠네                 [자모년심학발수(慈母年深鶴髮垂)].

임금이 사랑과 자모의 은혜 모두 보답 못하고   [군총모은구미보(君寵母恩俱未報)].

술을 마시다 병이들면 후회한들 미치랴           [주여성병회하추(酒如成病悔何追)]. 하였더니,

채제가 자리에서 일어나 사례를 하였다.

이로부터 절친한 손님이 아니면 술을 대하지 않았고 대한다 하더라도 취하는데 이르지는 아니하였다.

채제의 시호(諡號)가 문충(文忠)이였으니 그의 학문적 성취를 상상할 수 있다.

내가 우연히 서사(書史)를 보다가 옛날 사람이 남긴 자취를 보고 그래서 네가 술 마시는 것을 그만두지 못하는 것을

생각하여 마침내 그 내용을 표시해 두었다가 꺼내어 다른 종이에다 적고 따라서 세 절귀를 차운(次韻)하여 보낸다.

아아!

나의 근심이 어찌 채제의 대부인같을 뿐이겠으며 학문을 폐기하고 병이 날까 염려하는 것 또한 어찌 가선생이

채 장원랑(채제)에 대한 정도 뿐이겠는가?

너는 모름지기 가슴에 받들고 골수에 새겨 채문충공에게 부끄럼이 없도록 하라.

 

酒因廢學萱憂切   주인폐학훤우절   술 때문에 학문을 그르칠까 어머니의 근심 간절했고,

詩以醒人賈訓垂   시이성인가훈수   시로써 남을 깨우치도록 가선생의 교훈이 드리웠네.

兩句百年無一醉   양구백년무일취   두 글귀 명심하며 평생토록 한번도 취하지 말아,

壯元芳躅可能追   장원방촉가능추   장원랑의 꽃다운 자취 잘 따를 만하지 않느냐.

 

飮量超人汪若海   음량초인왕약해   술마시는 양은 남보다 뛰어나 넓기가 바다 같으니,

仙涎應爲麴車垂   선연응위국거수   신선도 누룩 실은 수레를 보고는 군침을 흘리네. 

先生一言能廻倒   선생일언능회도   가선생의 한 마디가 생각을 완전히 바꾸게 하여,

勇革千秋更孰追   용혁천추경숙추   용감하게 잘못을 고쳤으니 천추에 다시 누구를 따를 것인가?

 

丈夫事業非紅紙   장부사업비홍지   대장부의 사업은 과거 급제하여 홍패를 받는데 있지 않고,

須辨鴻名竹帛垂   수변홍명죽백수   모름지기 큰 명성을 역사에 전하도록 준비해야 하네. 

一醉萬愆如不戒   일취만건여불계   한 번 술에 취한 뒤에 만 가지 잘못을 경계하지 않으면,

聖賢門路奈難追   성현문로내난추   성현이 간 길을 따르기 어려운 데야 어쩌랴?

 

상평운(上平韻)  지:支 (수:垂, 추:追,)

 

[盆梅]     분매     동이의 매화

 

冬前已見枝生眼   동전이견지생안   겨울이 오기 전에 벌써 가지에 눈이 튼 것이 드러나더니,

春後方看萼吐奇   춘후방간악토기   봄이 온 뒤에야 바야흐로 꽃받침을 토해 낸 기이함 보겠구려.

若度乾坤凝閉日   약도건곤응폐일   하늘과 땅이 엉기고 닫힌 때를 고달프개 지나면서,

含香直待大來時   함향직대대래시   향기를 먹음은 채 곧바로 상서로운 때를 기다렸도다.

 

상평운(上平韻)  기:支 (기:奇, 시:時,)

 

[偶吟]     우음     우연히 읊다

 

谷裏孤芳閱歲寒   곡리고방열세한   산골짜기 외로이 핀 꽃 겨울철을 넘기면서,

笑他花柳媚春顔   소타화유미춘안   다른 꽃과 버들이 봄에게 아양떠는 모습 비웃네.

自知馨德猶依舊   자지형덕유의구   스스로 향기로운 덕이 예전과 같음을 알고,

人是人非也不關   인시인비야불관   사람들이 옳다 그르다 하는데는 관계 아니하련다.

 

상평운(上平韻)  산:刪 (안:顔, 관:關,)

 

[別李寬夫民宬赴京]    별이관부민성부경    이 관부 민성이 북경으로 떠나는데 작별하다

 

汲渫如今荷聖明   급설여금하성명   깨끗한 인재를 데려다 지금처럼 임금의 은혜를 받게 하니,

乘槎此去屬豪英   승차차거속호영   배를 타고 이번에 떠나게 됨은 호걸스럽고 영명한 일에 속하네.

霜分栢府掄宜重   상분백부륜의중   추상같은 논의는 사헌부에서 맡아 엄중히 선택하였고,

血瀝天閽事豈輕   혈력천혼사기경   진실한 정성을 황제의 궁전에서 쏟는 일 어찌 가벼우랴?

九十日行追鄭老   구십일행추정노   구십 일 동안의 사신 행차 정상사를 따르고,

八千溟路仗婁生   팔천명로장누생   팔천 리나 되는 바닷길 누성(婁星)에 목숨을 의지하였네.

秋風奉勑歸來早   추풍봉칙귀래조   가을 바람이 불면 조칙을 받들고 일찍 돌아올 터이니,

東土人民攔道迎   동토인민란도영   동방의 백성들 길을 막고서 영접하리라.

 

[누성(婁星:서쪽에 있는 28수의 열 여섯째 별.]

 하평운(下平韻)  경:庚 (명:明, 영:英, 경:輕, 생:生, 영:迎,)

 

 

[送柱宇]     송주우     주우를 보내며

 

平生愛汝不曾離   평생애여불증리   평생토록 너를 귀여워하여 일찍이 떠나보내지 않았는데,

落日天涯何處之   낙일천애하처지   해는 지는데 하늘가 어느 곳으로 가는가?

向學一心須自勉   향학일심수자면   학문을 향한 한마음은 모름지기 스스로 힘을 써서,

帝臨隨處更無欺   제임수처경무기   있는 곳마다 옥황상제가 내려다보니 다시 속임 없도록 하라.

 

상평운(上平韻)  지:支 (지:之, 기:欺,)

 

[伽倻山偶吟]    가야산우음     가야산에서 우연히 읊다

 

松明照險夷   송명조험이   관솔불 환하게 험하고 평탄함을 비추며,

匹馬伽倻路   필마가야로   한 필의 말을 타고 가야산 길 찾았네.

半夜上方來   반야상방래   밤중에 산 위의 절로 올라가니,

山中亦風雨   산중역풍우   산중에는 역시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도다.

 

거성운(去聲韻)  우:遇 (로:路, 우:雨,)

 

[九日小酌于東軒次退溪先生韻]      구일소작우동헌차퇴계선생운

구월구일 동헌에서 간소한 주연을 마련하고 퇴계선생 운에 차운하다

 

天涯九九鴈南飛   천애구구안남비   구월 구일 하늘가에는 기러기가 남쪽으로 날아가는데,

幾挿黃花上翠微   기삽황화상취미   국화꽃 몇 송이가 프르름 위에 꽂혔는가?

病守猶能開小酌   병수유능개소작   병든 수령이 그래도 간소한 주연은 능히 베풀수 있어,

佳賓況復許遲歸   가빈황복허지귀   아름다운 손님들 다시 늦게 돌아가기를 허락받았네.

鳴琴古閣和長笛   명금고각화장적   거문고 울리는 해묵은 집에선 긴 피리로 화답하는데,

秉燭良宵斷殘暉   병촉양소단잔휘   촛불을 밝히고 노는 밤놀이가 이튿날 해질 때까지 이어지네.

勝事百年今一日   승사백년금일일   좋은 일은 일생 동안 오늘 하루인 듯하니,

老人星下舞班衣   노인성하무반의   남극성이 비치는 아래서 때때옷 입고 춤을 추도다.

 

[당시 빙군(聘君)이 그 자리에 있었으므로 우리 집의 아이 주한(柱漢)이 일어나 춤을 추었음]

[빙군(聘君:관리로 등용하기 위하여 임금이 불러 들인 은사(隱士)의 존칭. 여기서는 장인(丈人)을 가리킴]

 상평운(上平韻)  미:微 (미:微, 귀:歸, 휘:暉, 의:衣,)

 

[三月三日李茂伯草堂次韻]     삼월삼일이무백초당차운

삼월 삼일에 이 무백의 초당에서 차운하다

 

茅屋雨椽三月春   모옥우연삼월춘   두어 개의 서까래를 건 초가집 춘삼월에 얽어지니,

主翁閑脚此間伸   주옹한각차간신   주인 늙은이 하가롭게 여기서 다리를 펴겠네.

梅花不讓西湖色   매화불양서호색   매화는 서호(西湖)의 경치에 양보하고 싶지 않으니,

定是東江伴鶴人   정시동강반학인   바로 낙동강에서 학을 짝하던 사람이 있어서이지.

 

상평운(上平韻)  진:眞 (신:伸, 인:人,)

 

[鹿峰精舍次退溪先生韻]     녹봉정사차퇴계선생운

녹봉정사에서 퇴계선생의 운에 차운하다

 

石峯橫峙鹿爲名   석봉횡치녹위명   돌로 된 산봉우리가 가로 솟아 사슴봉이라 이름 지었으니,

形勢幽閑別樣成   형세유한별양성   형새가 그윽하고 한가하여 특별한 모양 이루었네.

山寺何年開學舍   산사하년개학사   산속 절에다 어느 해에 공부하는 집을 세웎던가?

溪翁當日動詩情   계옹당일동시정   퇴계선생도 그 날은 시심(詩心)이 동하셨던게지.

 

領兼孔杏周蓮趣   영겸공행주연취   공자가 행단에서 강학하고 주염계의 연꽃을 좋아한 운치를 겸해서 갖췄고,

聞恰回琴點瑟聲   문흡회금점슬성   안회가 뜯었던 거문고며 증점이 탔던 비파소리 흡사 들리는 듯하네.

最愛樓遲二三子   최애루지이삼자   은퇴한 두 세 명의 친구를 가장 아끼노니,

抱才端合濟生靈   포재단합제생영   지닌 재능 바로 합하여 백성들을 구하도록 하세.

 

상평운(上平韻)  경:庚 (성:成, 정:情, 성:聲, 영:靈,)

 

[三月十日訪張族軒于點家村]     삼월십일방장족헌우점가촌

삼월 십일에 점가촌으로 장 여헌을 찾아가다

 

衣沾細雨小村路   의점세우소촌로   이슬비에 옷이 젖는 작은 마을로 들어가는 길을 따라,

爲訪春風陋巷顔   위방춘풍누항안   봄바람 불어오는 때 누추한 거리에 기거하는 여헌을 찾아갔었네.

半日襲薰渾化却   반일습훈혼화각   반나절 동안 유익한 담론을 들으니 혼연히 변화하여 달라진 듯하네,

臨盃還怕醉逾閑   임배환파취유한   술잔을 대하니 취한 뒤에 더욱 여유가 있을까 도로 겁이 나네.

 

상평운(上平韻)  산:刪 (안:顔, 한:閑,)

 

[和任茂叔]     화임무숙     임 무숙에게 화답하다

 

洛江秋月照襟胸   낙강추월조금흉   낙동강의 가을 달빛이 마음속을 비추니, 

不許紛拏左右攻   불허분나좌우공   서로 어우러져 다투며 좌우에서 공박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네.

白首吾儕行所學   백수오제행소학   머리가 허옇게 센 우리들, 배운 바를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데,

山中何必坐看松   산중하필좌간송   하필이면 산속에서 소나무나 바라보며 앉아 있어야만 하오?

 

상평운(上平韻)  동:冬 (공:攻, 송:松,)

 

[次古韻]     차고운     옛날 운에 차운하다

 

兩脚粘天不肯收   양각점천불긍수   빗줄기가 하늘에 붙어 좀처럼 거두질 않으니,

小塘波溢滿溝流   소당파일만구류   작은 연못엔 물결이 넘쳐 도랑 가득히 흘어내리네.

宦情未薄來如喜   환정미박래여희   벼슬하고픈 심정 없지 않아 올 때는 즐거운 듯하더니,

歸意方催滯覺愁   귀의방최체각수   돌아갈 생각이 재촉되니 벼슬 머무는 것이 걱정됨을 알겠네.

香動古梅風欲妬   향동고매풍욕투   묵은 매화 가지에서 향기가 움직이니 바람이 시샘하려하고,

嫩生新柳露偏稠   눈생신유로편조   새로운 버들가지에서 눈이 트니 이슬 촘촘히 내렸구려.

倦憑孤枕成蝴蝶   권빙고침성호접   게으르게 외로운 베개에 기대어 봄꿈을 꾸면서,

飛向庭闈路更悠   비향정위로경유   어버이 계신 곳으로 날아가는데 길은 다시 아득하기만 하도다.

 

하평운(下平韻)  우:尤 (류:流, 수:愁, 조:稠, 유:悠,)

 

[再用前韻]     재용전운     앞의 운을 거듭 쓰다

 

霽旭穿簷曉靄收   제욱천첨효애수   맑은 하늘에 뜬 아침 햇살이 처마에 비치자 아침노을 걷히고,

徹池泉脉細成流   철지천맥세성류   연못으로 통하는 샘물 가닥이 작은 도랑이 되어 흐르네.

一庭春物呈新態   일정춘물정신태   한 뜰의 봄경치는 새로운 자태 드러나는데,

千里遊人抱暗愁   천리유인포암수   천리 밖에서 유람하는 사람 남몰래 근심을 안고 있네.

鞍馬欲行知己少   안마욕행지기소   안장을 지운 말은 떠나려 하는데 자신을 알아주는 이는 적고,

翰場爲戱賦詩稠   한장위희부시조   문인들 모인 곳에서는 장난 삼아 짓는 시 많구려.

只今嶺外多沮溺   지금영외다저익   지금 영남에는 장저걸익(長沮桀溺)처럼 은거하는 이 많으니,

應笑風塵歲月悠   응소풍진세월유   응당 세속을 비웃으며 세월을 보내고 있으리라.

 

하평운(下平韻)  우:尤 (수:收, 유:流, 수:愁, 조:稠, 유:悠,)

 

[次寄仙巖丈李公華]   차기선암장이공화   선암어른 이공 화가 부친 운에 차운하다

 

誰從空谷採幽蘭   수종공곡채유난   누가 아무도 없는 골짜기를 따라 그윽한 난초를 캘까?

有綺無裁欠合歡   유기무제흠합환   비간 옷감은 있어도 재단할 이 없으니 함께 즐기기는 부족하네.

可惜人才坐潦倒   가석인재좌요도   인재가 노쇠하여 할 일 없이 앉아 있는 것이 애석하고,

堪憐吾道屬艱難   감련오도속간난   유교가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가련하구려.  

 

移家只爲溪環穩   이가지위계환온   집을 옮기는 데는 단지 시내가 안온하게 둘리기만을 위했었고,

築榭要看月印寒   축사요간월인한   정자를 지으면서 바라기는 달빛이 싸늘하게 비침을 보는 것이였네.

種竹成林猶事業   종죽성림유사업   대나무를 심어 숲을 이루는 것도 오히려 사업인데,

風霜幾許問平安   풍상기허문평안   바람과 서리 몇 번이나 바뀌었는지 안부를 여쭘니다.

 

상평운(上平韻)  한:寒 (환:歡, 난:難,한:寒, 안:安,)

 

[眼花]     안화     눈앞에 불똥 같은 것이 어른어른 하다

 

飮中仙子醉流霞   음중선자취류하   신선이 유하술 마시는 가운데 취하니,

春意融融入眼多   춘의융융입안다   만물이 소생하는 봄기운이 눈에 들어오는 것이 많구려. 

紫暈惹痕成彩局   자훈야흔성채국   자줏빛 달무리는 흔적을 남겨 채색의 판국을 이루었고,

翠睛流曜作輕花   취정유요작경화   푸르스름한 눈동자가 빛을 흘리니 가벼운 꽃이 피였네.

望迷泰嶽看如塊   망미태악간여괴   흐릿한 태산을 바라보니 마치 흙덩이를 보는 듯하고,

垂向深流墜作波   수향심유추작파   깊은 강물을 향해 드리우니 떨어지면 물결이 일듯하네.

想得當年風度足   상득당년풍도족   당년에 여유가 있었던 풍채를 상상하면서,

却憐巍頂便凋華   각련외정편조화   문득 우뚝한 머리에 백발이 시들어감이 가련하구나.

 

하평운(下平韻)  가:歌 (다:多, 파:波,)  마:麻 (화:花, 화:花,)

 

[矗石樓次韻] 2수(首)   촉석루차운     촉석루에서 차운하다

 

壁壓長湖凸作區   벽압장호철작구   바위벽이 긴 호수를 짓눌러 볼록 튀어나온듯한 구역 만들어지고, 

棟凌危石抗成樓   동를위석항성루   기둥은 뾰족하게 솟은 돌을 업신여기듯 우뚝한 누각 세워졌네.

初疑廣殿隣淸漢   초의광전린청한   처음에는 넓은 궁전이 맑은 한수가에 있는가 의심했는데,

却似輕舠泛碧流   각사경도범벽류   문득 가벼운 거룻배가 푸른 강물에 떠 있는 듯하네.

林遠雨餘痕筆抹   림원우여흔필말   비온 뒤의 숲은 멀리 붓으로 문지른 흔적 같고,

山低雲外勢鬟浮   산저운외세환부   구름 밖의 산들은 나직이 쪽진 듯이 떠있네.  

嶺南形勝探來盡   영남형승참래진   영남의 경치 좋은 곳 모두 찾아가 보았지만, 

伯仲於斯有幾州   백중어사유기주   이곳과 견줄데 몇 고을이나 있으랴?

 

戰敗當年一廢區   전패당년일폐구   전쟁으로 허물어진 당년에는 버려진 한 구역이였는데, 

登臨此日半空樓   등임차일반공루   오늘은 공중에 우뚝 솟은 누각에 올라탔네.

精忠幾逐江波逝   정충기축강파서   순수했던 충신들 몇이나 물결을 쫓아 가버렸던가?  

寃恨還隨歲月流   원한환수세월류   원통한 한은 도리어 세월 따라 흘러가는구려.

今古興亡天闔闢   금고흥망천합벽   예나 지금이나 흥성하고 패망하는 건 하늘에 달렸는데,  

賢愚榮悴水沈浮   현우영췌수침부   현우(賢愚)와 영화 초췌는 물 부침(沈浮)과같은 것.

長吟獨吊三更夜   장음독조삼경야   한밤중에 혼자 읊조리며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하는데,

新堞崢嶸繞舊州   신첩쟁영요구주   새로 쌓은 높고 가파른 성가퀴는 옛 고을에 둘려 있도다.

 

하평운(下平韻)  우:尤 (누:樓, 류:流, 부:浮, 주:州,)

 

[金海涵虛亭]    김해함허정     김해 함허정에서

 

新開小舘舊涵虛   신개소관구함허   물빛이 하늘에 비치는 옛터에 새로 별관을 지으니,

一鑑淸光四面如   일감청광사면여   한 개의 거울 같은 맑은 빛 사방이 똑같네.

獨起中宵神境凈   독기중소신경정   밤중에 혼자 일어나 보니 신비스런 지경이 깨끗하기만 한데,

海天秋月入簾初   해천추월입렴초   바닷가 하늘에 가을 달빛이 발에 처음으로 비치도다.

 

상평운(上平韻)  어:魚 (여:如, 초:初,)

 

[基倅以壽席韻求和次贈]     기수이수석운구화차증

풍기 고을 수령이 장수를 비는 연회 석상의 운을 가지고 화답하기를 구하므로 차운하다

 

喜懼人懷卽我懷   희구인회즉아회   어버이 회갑을 맞아 기뻐하고 두려워하는 남의 마음이 바로 나의 마음이니,

孝慙城養悶誰排   효참성양민수배   한 고을을 맡아 봉양하면서도 부끄러워하는 그 고민 누가 없애줄까?

窮閭苦恨何多伍   궁여고한하다오   구석진 시골에서의 괴롭게 한탄하는 이 어찌 그리 많으며,

壽日榮歡奈未偕   수일영환내미해   장수하기를 비는 날 영화롭게 즐기는데 부부가 함께 늙지 못한 데야 어쩌랴?

路指竹山猶日下   로지죽산유일하   죽산 쪽으로 가리키는 길에는 오히려 해가 지려하는데,

庭辭玉堞却天涯   정사옥첩각천애   옥으로 꾸민 계단의 뜰을 하직하고 문득 먼 곳에 있구려

欲和蒼巖句   복이욕화창암구   부러워하면서 창암의 글귀에 화답하려고 하니,

只怕文如司馬俳   지파문여사마배   단지 글이 사마상여(司馬相如)처럼 익살스러울까 두렵다오.

 

[사마상여(司馬相如:전한(前漢)의 문인(文人). 자(字)는 장경(長卿),

                무제(武帝) 때 낭(郎)으로서 서남이(西南夷)와의 외교에 공이 컸음]

상평운(上平韻)  가:佳 (배:排, 해:偕, 애:涯, 배:俳,)

 

[見李覮旣書西宮朔膳不書臣字口占一絶]    견이영기서서궁삭선불서신자구점일절

이병이 이미 서궁의 삭선을 쓰면서 신하신자를 쓰지 않는 것을 보고서 한 귀절를 읊다

 

聖明勤問寢   성명근문침   임금도 부지런히 문안을 드리려고,

中使趂淸晨   중사진청신   왕명을 전하는 내시가 이른 새벽에 나아가도다.

自是邦家母   자시방가모   이분은 바로 국가의 어머니 격인데,

如何獨不臣   여하독불신   어찌하여 홀로 신하라고 아니하는가?

 

[서궁(西宮:인목대비를 가리킴]

상평운(上平韻)  진:眞 (신:晨, 신:臣,)

 

[見李弘胄旣書大妃殿朔膳進上又書臣字口占一絶]  견이홍주기서대비전삭선진상우서신자구점일절

이홍주가 이미 대비전의 삭선을 쓰고 진상하면서 또 신하신지를 쓴 것을 보고서 한 귀절을 읊다

 

飽喫先朝祿   포끽선조록   열성조의 녹봉을 배불리 먹었는데,

寧忘舊日恩   영망구일은   어찌 지난날의 은혜를 잊을 수 있으랴?

爲臣能盡節   위신능진절   신하가 되어서 충절을 다한다면,

應感在天魂   응감재천혼   하늘에 있는 영혼도 반드시 응감(應感)하리라.

 

[삭선(朔膳:매월 초하룻날에 각 도(道)에서 나는 물품으로 임금 및 왕비에게 차례 올리는 음식상]

 상평운(上平韻)  원:元 (은:恩, 혼:魂,)

 

[雪中次謝南汝善錫圭]  설중차사남여선석규  눈 속에 남 여선 석규의 운에 차운하여 사례하다  

 

白雪烏巾佩酒來   백설오건패주래   흰 눈 내리는데 검은두건을 쓴 채 술을 차고서 나를 찾아왔었지,

荊扉薄晩爲君開   형비박만위군개   가시나무로 만든 사립문 땅거미가 지도록 그대를 위해 열어두었네.

急呼童女修茶鼎   급호동녀수차정   급히 심부름하는 여자아이 불러 차를 끓이게 하고,

更向幽盆問臘梅   경향유분문납매   다시 그윽한 화분을 향해 섣달에 피는 매화에 대해 물어보았네.

靑眼喜深忘日夕   청안희심망일석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를 맛아 즐기다 보니 저녁이 된 것을 잊었고,

黃流歃盡覺春廻   황류삽진각춘회   진한 막걸리를 다 마시고 나니 봄이 돌아옴을 깨닫게 되네.

撚髭且和瓊琚句   년자차화경거구   수염을 쓰다듬으며 주옥같은 글귀에 화답하려고,

把筆其如老不才   파필기여노불재   붓을 잡긴 하였지만 늙고 재능이 없는 데야 어쩌랴?

 

상평운(上平韻)  회:灰 (개:開, 매:梅, 회:廻, 재:才,)

 

[次寄友人]     차기우인     차운하여 친구에게 부치다

 

雨後江東露氣豪   우후강동로기호   비 그친 뒤의 강동에는 호걸스런 기풍 드러나니,

落盤鱸膾雪縈刀   낙반노회설영도   소반에 담긴 농어회 흰빛 칼에 둘렸네.

閑吟倦臥悠悠興   한음권와유유흥   한가하게 읊고 게으르게 누웠노라면 한없는 흥취가 일어나는데,

有醑無酤薄薄醪   유서무고박박료   좋은 술이야 있지만 살 수가 없어 맛 없는 막걸리 뿐이라네.

廻首風塵何許遠   회수풍진하허원   머리를 세속으로 돌려보니 어찌 그리 멀게 느껴지는지,

映襟秋月近來高   영금추월근래고   옷깃에 가을달 비치는데 요즈음 높게만 여겨지네.

此身方信麻衣稱   차신방신마의칭   이 몸에는 삼배옷이 맞다는 걸 바야흐로 믿게 되었으니,

末路寧須耀錦袍   말로영수요금포   늘그막에 어떻게 꼭 비단 도포를 입고 드날려야 하겠는가?

 

하평운(下平韻)  호:豪 (도:刀, 료:醪, 고:高, 포:袍,)

 

[九未堂次五爺韻]    구미당차오야운    구미당에서 다섯째 숙부의 운에 차운하다

 

天椓人疎不奈何   천탁인소불내하   하늘이 해롭게 하고 남들이 소원하게 하는 데야 어쩔 수 없겠지만,

學程書課却無苛   학정서과각무가   학문하는 이력과 글 읽는 과제는 문득 까다로움이 없었네.

性難率處仁難擇   성난솔처인난택   천성을 거느리기 어려운 곳에는 어짊도 가리기 어려우니,

見自明時口更多   견자명시구경다   저절로 분명하게 나타난  때에는 말이 다시 많도다.

 

하평운(下平韻)  가:歌 (하:何 가:苛, 다:多,)

 

[過酉谷有感]     과유곡유감     닭실을 지나면서 느낀바 있어

 

波皺石泉人已遠   파추석천인이원   돌 사이로 흐르는 샘물 주름이 잡힌 듯 주인 떠난 지 오래이고,

葉丹巖榭客生愁   엽단암사객생수   바위 위 정자 주위에는 단풍든 잎이 나그네의 시름을 자아내네.

當年來往交深淺   당년래왕교심천   당시에 오가며 사귄 깊고 얕은 교분을,

爲問鳳雛知不知   위문봉추지부지   뛰어난 자제들에게 묻노니 아는가 모르는가?

 

하평운(下平韻)  우:尤 (수:愁, 지:知,)

 

 <<14세손 김태동 옮겨씀>>

 

 

 

 

이전글 ...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