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淸休齋文集(揚烈)
淸休齋文集(揚烈)
제목 淸休齋先生文集,目次(청휴재선생문집,목차)
작성자 관리자 [2018-01-08 18:11:22]
첨부파일
첨부된파일갯수 : 1
淸休齋先生文集(國譯).pdf

 

目 次

淸休齋先生文集卷之一(청휴재선생문집권일)

()

述懷(술회)

壬寅九月自望仙菴轉向餘浦口占(임인 9월 망선암에서 여포로 돌아와서 읊음)

彌谷松亭次人松(미곡송정차인송순운)

春祝幷小敍(춘축 짧은 서문과 함께)

題冊衣(제책의)

次仲父壁上韻(중부의 벽상운에 차운함)

輓虛舟金丈汝煜(허주 김여욱 만시)

輓琴進士致謙(금치겸진사 만시)

次琴汝聖韻(금여성의 운에 차운함)

海院次鳳隱朴丈燉詠梅韻(해원에서 봉은 박돈의 영매운에 차운함)

偶吟(우음)

輓李活齋大方榘 幷敍(대방 활재 이구 만시 서문과 함께)

洞契次友人韻(동계 친구의 운에 차운함)

次全明老翼(명로 전익구에 차운함)

贈盧好古思敏 幷小敍(호고 노사민께 줌 짧은 서문과 함께)

輓三棄堂琴丈是養(삼기당 금시양 만시)

紫洞偶吟(자동우음)

次韻寄謙兒讀書山寺(산사에서 독서하는 지겸에 부쳐 차운함)

歲除日有感(섣달 금날 유감)

輓梅軒洪丈俊亨(매헌 홍준형 만시)

輓權公在機(권재기 만시)

偶吟(우음)

次裵晦伯壁上韻(배회백의 벽상운에 차운함)

謝琴虞卿雲達會款巖臺(우경 금운달과 관암대서 만나 사례함)

種松(종송)

採薇(채미)

薔薇(장미)

假鷗(외가리)

輓金院長如亮(김여량 원장 만시)

輓李子愚惟顔(자우 이유안 만시)

醉和李道淵(이도연과 취중에 화답함)

次洪九以敍夏韻謹呈李僉知振南重牢宴

(구이 홍서하 운에 차운하여 첨지 이진남의 진갑연에 바침)

次李愚忍齋德滋韻(우인재 이덕자의 운에 차운함)

輓外舅李公榮遠(장인 이영원 만시)

輓琴子若以亨(자약 금이형 만시)

輓鳳隱朴丈(봉은 박돈어른 만시)

移居有感(이거 유감)

紫洞留置梅盆夢見枯落之容命使僮僕灌之以水

(자동에 둔 매분이 꿈에 말라보이기에 아이를 시켜 물을 주게 함)

今歲凶歉劇於去歲 聖上軫念累下哀慟之詔而列邑賑政未免文

具之歸竊盜虛譽濫被恩賞者間或有之豈不痛哉仍成近體詩一首

(작년부터 금년도 극심한 흉년이라 성상께서 애통하는 마음이 쌓인다는 조서를 내려 열읍에

진휼하라는 정책에도(지방에서는)문구만 돌림을 남용하여 간혹 은상 입으려고 헛된 영예를

절도함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 어찌 마음

아프지 않으리? 그래서 근체시 1수를 짓다.)

小刀(소도)

怪石(괴석)

春霧(봄 안개)

蚌漆靈草竹(방칠 영초죽)

詰犬(개를 꾸짖으며)

蒼玉硯滴(창옥 연적)

戱題兒輩冊匣(장난삼아 애들 책갑에 지음)

文房四友(문방사우)

辛亥秋夏間年飢疫熾牛無一遺人亦死盡翌春見鄰翁播麥而馬代牛身代奴有感而作

(신해년 가을 여름 사이 굶주림과 역병이 극성해서 소도 없고 사람도 또한 다 죽어서 이듬해 봄에

이웃 늙은이가 보리를 뿌림에 소 대신 말로, 노비 대신 직접 함을 보고 느낀 바 있어서 지음.)

過朴鳳隱公舊墟有感(봉은 박공의 옛 터를 지나는 느낌)

次寄宣城倅李公斗光(선성원 이두광에게 차운해 부침)

和沈子實(심자실에 화답함)

呈邊丈有翰二十四韻(변유한 어른께 드리는 24)

贈吳起仲始興(기중 오시흥께 드림)

窩南丈亨會雪月韻(탑와 남형회의 설월운에 차운함)

五噫歌(오희가)

輓金鳩齋啓光(구재 김계광 만시)

和琴士文壁上韻(금사문의 벽상운에 화답함)

和李景則韻(이경직운에 화답함)

輓琴洛浦和叔聖徽(낙포 화숙 금성휘 만시)

次韓公相皐韻(한상고공의 운에 차운함)

輓邊丈有海(변유해 만시)

輓金君則憲(군칙 김헌 만시)

與友人約赴淸凉遇雨留飮草堂(벗과 청량산에 가려고 약속했으나 비를 만나 초당에 머물며 마심)

春帖(춘첩)

次大隱堂韻(대은당 운에 차운함)

見孫輩聚戱有感作(손자들이 모여 노는 것을 보고 지음)

弔病竹(병든 대나무를 조상함)

輓朴以承后基(이승 박후기 만시)

題刀川柳亭(도천 유정에 부침)

和裵晦伯韻(배회백운에 화답함)

輓金善叔世鳴(선숙 김세명 만시)

拜呈安城主重行軒(안중 현령의 행헌에 드림)

種善亭會次友人韻(종선정 모임에서 벗의 운에 차운함)

讀小學(소학을 읽으며)

謝琴友寄贈山蔬(벗인 금모가 산나물을 준데 사례하며)

覆呈窩丈幷敍(탑와에게 다시 드림 서문과 함께)

次豊樂山主人韻(풍락산 주인운에 차운함)

綠陰芳草勝花時(녹음방초승화시)

戱題梅鶴障子(장난삼아 가리개에 매화와 학을 지음)

(죽은 며느리를 애도함)

春祝(춘축)

弔枯梅(말라 죽은 매화를 조상하며)

李聖徵應奎來訪仍向社齋留二夜而病未往寄此一絶以謝

(성징 이응규가 사재로 가려고 찾아와서 이틀을 묵는데 병으로 못가서 이 한 절귀로 사례함)

送李晉叔時善之金剛(진숙 이시선을 금강산으로 보내며)

輓李察訪瑄(찰방 이선의 만시)

送從姪至善還京(서울로 돌아가는 종질 지선을 보내며)

盆梅見許於鄰友未及取來聞小兒折枝有感而作

(이웃 벗에게 분매 보기를 허락했는데 아직 안 돌아왔기에 들으니 아이가 가지를 꺾었다는데 유감으로 지음)

無題(무제)

輓李進士鍝(진사 이우의 만시)

病中偶吟(병중우음)

賀呈金僉知三昆季(김첨지 3형제를 축하하며 드림)

諸老會席有吟(모든 노인들의 모인 자리에서 읊음)

次樓巖主人韻(누암 주인운에 차운함)

戱贈聞韶倅黃公應一(문소원 황응일에게 장난삼아 줌)

次聞韶倅壽席韻(문소(의성)원 수연운에 차운함)

次呈窩丈幷敍(탑와 어른께 차운하여 드림 서문과 함께)

次寄聞韶倅(문소(의성)원에게 차운하여 부침)

追和城皐丈船遊韻(성고어른의 선유운에 따라가 화창함)

贈聞韶倅戒酒(문소(의성)원께 술을 삼가라고 줌)

贈送鈗孫兼示恒姪(손자 이윤을 보내며 조카 항께 보임)

謝呈窩丈(탑와 어른께 보내며 사례함)

又呈窩丈(탑와 어른께 또 보냄)

次別洞主人裵興一韻(별동주인 배흥일 운에 차운함)

次別洞主人(별동주인에 차운함)

謝呈別村老兄 幷小敍(별촌 노형에 사례해 보냄 짧은 서문과 함께)

輓成進士甲夏(진사 성갑하 만시)

輓金察訪啓祥(찰방 김계상 만시)

輓李護軍時謙(호군 이시겸 만시)

輓吳進士慶基(진사 오경기 만시)

解冰(해빙)

輓琴司藝聖奎(사예 금성규 만시)

輓洪烈婦(열부 홍씨 만시)

輓朴執如文(집여 박문규 만시)

戊寅孟冬旣望後三日次兒至一以老父老慈年近八旬爲設壽酌婦姪李君元弼

又齎酒饌 來助與宗族老少極意歡樂遂成一絶以示李君

(무인(1698) 10 19일 둘째 아들 지일이 노부 노모의 나이가 근 8순이 되자

수연을 베풀어 처질인 이원필이 또한 주찬을 가져와 도우니 족종 노소가 매우 기뻐

즐기기에 한 구절을 지어 이군에게 보임)

輓金文瑞漢奎(문서김한규만시)

()

鄕校一經講額外生辨明疏(향교 일경 강액외생 변명소)

()

問忠孝(문충효)

淸休齋先生文集卷之二(청휴재선생문집권지이)

()

窩南丈書(탑와 남공과의 편지)

寄至一(지일에게 부침)

寄至道至謙至一(지도 지겸 지일에게 부침)

寄一兒覺華做榻(첫째에게 부침 각화사 탑상에서 지음)

次兒付(둘째에게 부침)

寄至一望姪兼看(지일에게 부침 조카도 같이 보기 바람)

寄至一(지일에게 부침)

寄至一(지일에게 부침)

寄至一(지일에게 부침)

寄至一(지일에게 부침)

寄至一(지일에게 부침)

寄謙一兩兒(겸일 지일 두 아들에게 부침)

長子副室婚書(큰 아들 부실의 혼서)

鈗孫寄書(손자 이윤에게 부치는 글)

鈗兒寄書(손자 이윤에게 부치는 글)

兩孫付(이윤 이복 두 손자에게 부침)

鈗兒付(손자 이윤에게 부침)

鈗兒付(손자 이윤에게 부침)

(서문)

鄕錄案改修序(향록안 개수 서문)

名兩姪序(두 조카의 이름 서문)

(기문)

烏竹杖記(오죽장 기문)

()

木枕銘(목침명)

()

猫捕鼠說(고양이가 쥐를 잡는 설)

祭文(제문)

社稷壇祈晴文(사직단 기청문)

烏龍淵祈雨文(오룡연 기우문)

祭柳務安貞立文(무안 유정립 제문)

祭外舅李公榮遠文(장인 이영원 제문)

祭朴以承文(박이승 제문)

窩南公文(탑와 남형회공 제문)

淸休齋先生文集附錄(청휴재선생문집부록)

贈遺諸篇(받아 남은 여러 편)

奉別克紹(봉별극소) 李鍝

謝少室洞主老兄見訪(사소실동주노형견방) 吳善餘

次贈金克紹(차증김극소) 權坵

送金進士克紹南歸(송김진사극소남귀) 李榮世

晩退金進士叔主次韻5(만퇴김진사숙주차운5) 李元弼

少室幽軒(소실유헌) 南亨會

淸休齋尊几下(청휴재존궤하) 李東標

祭文(제문) 金國柱

行狀(행장) 金鶴鎭

墓碣銘(묘갈명) 李晩

(발문) 李中業

後敍(후서) 權相翊

拙修齋遺帖(졸수재유첩)

寄兒揚烈(양열에게 부침)草房寺(초방사)

兒輩付(애들에게 부침)

揚成兩兒寄示(양열, 성열 두 애들 보아라)

寄二兒(두 아들께 부침)草房寺(초방사)

兒輩答寄(애들께 답으로 부침)

寄書(부친 편지)

答付(답신 편지)

寄揚烈書(양열에게 부친 편지)松峴寓所(송현우소)

寄揚烈書(양열에게 부친 편지)新恩行次(신은행차)

寄揚烈書(양열에게 부친 편지)

寄進士行次(진사 행차에 부침)

答生員書(생원께 답한 편지)草房寺(초방사)

寄生員書(생원께 부친 편지)

(발문) 金揚烈

後記(후기) 金肅鎭

청휴재(淸休齋)선생(先生) 김양열(金揚烈)() 세계(世系)

시대적 배경(時代的 背景) 金世顯

후기(後記) 金一東

원문영인(原文影印)

 

 

이전글 ...
다음글 ...